목차
Ⅰ. 서론
Ⅱ. 김시습(金時習)에 대하여
1. 김시습의 생애와 활동 사항
2. 김시습의 사상과 문학
3. 김시습의 저서
Ⅲ. 최초의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
1.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
2.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3. 취유부벽정기(醉遊浮碧亭記)
4.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
5.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
6. 금오신화(金鰲新話)의 문학사적 의의
Ⅳ.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김시습(金時習)은 조선 시대의 학자이자 문인으로, 생육신 중 한 사람이다. 그는 그의 생애에 있어 많은 작품을 남겼는데, 그 중 우리에게 친숙한 작품은 바로 금오신화(金鰲新話)이다. 김시습의 금오신화(金鰲新話)는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취유부벽정기, 남염부주지, 용궁부연록의 다섯 작품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금오신화는 최초의 한문소설로 내용·기교·작가의식에 있어서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으며, 한국소설의 출발점을 이룬다는 점과 더불어 후대소설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최초의 한문소설로 중요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니고 있는 김시습의 대표적인 작품들 중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중점으로, 이 다섯 작품에 대한 감상과 그 문학사적 의의를 찾는 것을 목표로 글을 전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김시습의 생애를 알아보고 금오신화(金鰲新話)의 각 작품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이에 대한 개인적인 감상 순으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각 작품의 문학사적 의의를 밝히고, 마지막으로 김시습의 금오신화(金鰲新話)에 대한 문학사적 의의를 밝혀 본고의 목표를 이루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 우선 김시습의 생애와 활동사항, 그의 사상과 문학, 그리고 그의 저서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Ⅱ. 작가, 김시습(金時習)에 대하여.
1. 김시습의 생애와 활동 사항
김시습은 1435년(세종 17)에서 1493년(성종 24)년까지 살았던 조선 시대의 학자이자 문인으로, 생육신 중 한 사람이다. 본관은 강릉이며, 자는 열경(悅卿), 호는 매월당(梅月堂), 청한자(淸寒子), 동봉(東峰), 벽산청은(碧山淸隱), 췌세옹(贅世翁), 설잠(雪岑) 등 이었으며, 시호는 청간(淸簡)이었다.
참고 자료
심경호 역(2005) 매월당 김시습, 홍익
이종호(2006) 매월당 김시습, 일지사
김일렬, 금오신화고찰, 조선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회, 1976
설중환, 금오신화연구(金鰲新話硏究),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83
이가원 역, 금오신화(金鰲新話), 통문관, 1959
임형택, 현실주의적 세계관과 금오신화, 국문학연구 13, 서울대학교, 1971
조동일, 한국소설(韓國小說)의 이론(理論), 지식산업사, 1977
최삼룡, 금오신화의 비극성에 대한 초월의 문제, 어문논집 22, 고려대학교국어국문학과,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