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Larynx cancer는 우리나라에서 얼굴과 목부분에 발생하는 암 중에서 가장 흔하며 전체 암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보통 40대 이후에서 호발하고 흡연과 음주가 가장 치명적인 원인이기 때문에 여성보다 남성의 비율이 높다. 하지만 최근에는 여성의 발병률도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 있어 주의깊게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 Larynx cancer는 조기에 발견하면 예후가 좋은(90%이상)암에 속하기 때문에 Larynx cancer를 조기에 예방하고 효율적인 간호를 적절하게 시행하고자, 또한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그에 목적을 두고 있다. 그래서 나는 GS 91병동내의 대상자 한 명을 선정해 5/19~5/30 실습기간동안 이 질환에 대하여 Case study를 진행하였다.
후두는 발성기관으로 위는 인두, 아래는 기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앞에는 식도가 위치한다. 후두개는 혀 바로 뒤, 후두 바로 위에 있는데 삼킬 때 후두를 막아 폐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남자들의 목에서 만져지는 부분이 갑상연골이고, 윤상연골은 갑상연골 바로 아래 있으며 기관절개 부위이다. 이 연골들은 위로는 설골(hyoid bone)에 아래는 기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호흡할 때나 삼킬 때 후두가 개방되도록 한다.
<후두의 기능>
①호흡기능 : 가장 기본적인 기능으로 인두 부위로부터 기관에 이르는 공기 흐름을 연결하고 조절해 주는 통로가 된다. 공기 통로인 후두에 종양이 생기거나 염증에 의해 붓게되면 통로가 좁아지게 돼 호흡곤란이 발생할 수 있다.
②기도 보호기능 : 후두는 음식물, 분비물, 이물질 등이 기도로 들어가지 않도록 여러 반사작용을 통해 기도를 보호하고 음식물이 식도로 넘어갈 때 삼킴 작용을 도와준다.
③발성기능 : 주로 성대(성문부)에서 발성이 이루어진다. 숨을 쉬어 공기가 성대를 지나가게 되면 성대의 여닫음과 떨림으로 성대음이 생기고 입이나 코를 통해 목소리가 만들어지게 된다.
참고자료
· 김금순, 김영숙 외 (2012), 일곱째판 성인간호학 1,2권, 수문사
· 강현숙, 임난영 외, 근거기반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 drug info 약품 검색
· 이은옥 외.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