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의학 정리본(공중보건학)
- 최초 등록일
- 2016.09.25
- 최종 저작일
- 2011.0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없음
본문내용
“건강이란 단순히 질병이 없고 허약하지 않는 상태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육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으로 완전한 상태이다.(1948.4.7 WHO)
(2) 공중보건학의 정의
“공중보건학이란 환경위생의 향상, 전염병의 관리, 개인위생의 개별교육, 질병의 조기진단과 예방을 위한 의료서비스의 조직, 건강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데 필요한 삶의 표준을 보장하기 위한 사회적 목표로, 조직화된 지역사회의 공동노력을 통하여 질병 예방과 생명 연장, 그리고 신체적 및 정신적 효율을 증진시키는 기술이며 과학이다.” - Winslow (1877~1957), Yeil, C.E.A
2) 공중보건학의 발전과정
(1) 서양의 역사
① 고대(B,C, ? ~ A.D. 500)
- Hippocrates(BC 460~377)의 장기설, 4체액설
- 이집트의 방부, 살균
- 인도의 당뇨, 결색, 천연두, 말라리아, 페스트
- 인도의 브라만교
- 중국의 마약, 구충제, 설사제, 빈혈 치료제 등
② 중세(500~1500) ; 암흑기
- 모든 질병의 원인을 신의 벌로 간주
- 십자군의 원정: 콜레라, 선페스트, 나병 전파
- 검역의 발생, 최초의 검역법, 검역소
③ 근세(1500~1850) ; 요람기
- 병원, 대학 등 공중보건제도의 기틀 마련
- 의학의 갱생기며 근대과학의 태동기
- 세계최소인 공중보건법, 보건부
- 현미경의 발견
④ 근대(1850~1900) ; 확립기
- 예방의학 사상
- 세균발견 및 백신개발
⑤ 현대(1901년 이후)
- 세계보건기구(WHO) 발생
- UNCED, CSD 등.
(2) 우리나라의 역사
① 고대(기원전~935 ; 단군시대~통일신라)
- 본초경, 의박사, 채약사, 금무약방
② 중세(935~1392 ; 고려시대)
- 의박사, 상약국, 대의감, 제위보, 혜민국
③ 근세(1392~1910 ; 조선시대)
- 전의감, 내의원, 혜민서, 활인서, 전형사
- 허준의 동의보감
- 광혜원, 세브란스병원
④ 현대(1910년 이후)
- 보건사회부->보건복지부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