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문헌고찰
1) 비뇨기계
2) Ureter stone
3)Ureteroscopic Removal of Stone
Ⅱ. 간호사정
Ⅲ. 수술 전 간호사정
Ⅳ. 수술 중 간호기록
Ⅴ. 수술 후 간호(회복실)
본문내용
※ 정 의
비뇨기계는 신장, 요관, 방광, 요도로 구성된다. 신장에서 생성된 소변이 요관을 따라 방광에 저장되고 일정한 양의 소변이 방광에 모이면 요도를 통하여 배설된다.
또 신체의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은 체외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 기 관
- 신장 : 필요한 물질은 재흡수하고 불필요한 물질은 걸러내어 소변을 만드는 강낭콩 모양의 기관이다.
- 요관 : 신장과 방광을 이어주는 관,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이 방광에 도달할 때까지 지나 가는 통로이다.
- 방광 : 소변의 저장과 배출을 담당하는, 속이 빈 주머니와 같은 근육기관이다.
- 요도 : 방광에 모아진 소변을 배출하는 관이다.
※ 구 조
● 신 장
길이 약 10cm, 폭 5cm, 두께 3cm, 무게 약 130~150g의 적갈색 강낭콩 모양의 기관으로 남성의 신장이 여성보다 약간 크다.
신장의 표면은 피막으로 싸여 있고 주위에 지방이 잘 발달되어 있다. 신장은 주위의 지방과 신장의 혈관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나 숨을 들이 쉴 때나 일어날 때면 4~5cm 정도 위치가 내려가기도 한다.
신장은 하늑골, 하흉추, 상요추, 후복근 등 주위 구조물에 의해 보호되어 있고 복강 내 여러 장기와 인접해 있다.
- 피 질
신장의 가장 바깥부분이며, 피질은 길이가 긴 모세혈관이 뭉쳐져 있는 사구체와 사구체를 감싸고 있는 보먼 주머니로 되어 있다.
피질에는 배설 작용을 담당 세포인 네프론이 있다.
- 수 질
수질에서는 U자형의 헨레루프와 집합관이 있으며 무기염류와 물의 재흡수 및 분비작용이 일어난다.
U자형의 헨레루프는 무기염류와 나트륨 이온, 염소이온들이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고 이로 인해 원뇨의 농도가 고저되는 것을 조절한다.
헨레루프의 작용은 혈액속 노폐물의 배출에 관여한다.
- 신 우
오줌이 일시적으로 모이는 곳이다. 신우는 보먼주머니와 세뇨관들의 집합관과 연결되어 있다.
신우의 내부는 끈하고 부드러운 점막으로 덮여있다. 신우의 내부는 끈끈하고 부드러운 점막으로 덮여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