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십이지장 궤양 duodenal ulcer 정의
① 궤양ulcer 이란?
: 방어적인 점막의 파괴를 나타내는 말로 점막층보다 깊이 파이면서 점막근층 조직이 위 분비물에 노출되어 소화되는 것을 말한다. (자가소화, autodigestion)
: 미란과 혼동될 수 있는데 미란은 점막근층 조직까지 파이지 않는다.
② 십이지장 궤양 duodenal ulcer
: 십이지장 점막이 흡연, 스트레스, 약제, 헬리코박터균의 감염, 악성종양 등에 의해 손상되어 가장 표면에 있는 점막층보다 깊이 파이면서 점막근층 이상으로 손상이 진행된 상태를 말한다. 흔히 소화성 궤양 peptic ulcer 과 동의어로 쓰이는데, 소화성 궤양은 위 궤양과 십이지장 궤양을 포함하며, 점막을 보호하는 방어인자와 점막 손상을 유발하는 공격인자 의 균형이 깨지면서 발생하는 궤양을 말한다. 십이지장 궤양은 대부분 이러한 소화성 궤 양에 해당되므로 두 단어가 같이 쓰인다.
2. 십이지장 궤양 병태생리
: 위는 염산이 펩시노겐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pH를 2~3으로 유지하는데 정상적으로 위벽에는 점막방어인자가 있어 자가소화 되지 않도록 보호되며, 위점막의 표면에는 재생되는 세포가 많아 약 3일마다 새롭게 재생된다. 정상적으로 물, 전해질과 물에 녹는 물질(예: 포 도당)은 장벽을 쉽게 통과한다. 그러나 점막방어인자는 산과 펩신이 위 내부에서 점막층을 통해 조직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한다.
⇨ 십이지장 궤양은 H.pylori(헬리코박터균)의 감염, 진통제 복용, 흡연 등이 대표적이며, 이 중 헬리코박터균의 감염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위장 점막에 헬리코박터균이 감염되면 위전정부(유문부, 십이지장과 가까운 부위)에서 위산의 분비가 많아지고, 여러 생체신호를 통해 십이지장 점막에서의 염기성 분비가 줄어들어서 궁극적으로 공격과 방어의 균형이 깨져 궤양이 발생한다. 그리고 진통제(해열, 진통, 소염제)에 의한 십이지장 궤양 발생은 십이지장 점막 세포층의 재생과 기능을 조절하는 프로스타글란딘 (prostaglandin)이라는 물질의 생성 과정이 진통제에 의해 차단되어 발생한다.
참고자료
· 조경숙 외(2013) 성인간호학 상 서울: 현문사
·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