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발생기전
- 정상적으로 흉막강 내 압력은 음압으로 대기압보다 낮다. 이 음압은 폐를 재팽창 하지만 흉막이 파열되어 공기가 들어가게 되면 폐가 허탈된다. 흉벽의 손상으로 인해 대기와 흉막강이 통하게 되면 벽측 흉막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흉막강 내로 들어오거나(개방성 기흉), 폐측 흉막이 손상을 입어 폐포 속의 공기가 흉막강 내로 누출되어 기흉 상태(폐쇄성 기흉)가 되면 폐가 찌부러지게 되어 흉곽이 팽창 또는 수축하더라도 호흡운동이 제대로 일어나지 못해 호흡곤란이 발생한다.
3) 유형
① 자연기흉(Spnontaneous pneumothorax)
- 기저 폐질환이 없는 건강한 사람에게서 발생하는 일차성 자연 기흉(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과 기저 폐질환이 있는 경우 발생하는 이차성 자연 기흉(Secondary spontaneous pneumothorax)으로 나누어진다.
< 임상 증상 및 진단 >
- 소기포가 처음 터지는 순간 날카롭고 찌르는 듯한 통증이 있다가 점차 둔하고 지속적인 통증으로 바뀐다. 긴장성 기흉이 발생하면 수 분 내에 호흡곤란, 불안, 청색증, 빈맥, 저혈압이 나타난다. 폐허탈로 가스교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호흡곤란을 느끼며 마른기침을 하게 되며, 기흉의 크기가 클수록 호흡곤란이 점점 더 심해진다. 혈압이 떨어지고 맥박이 빨라지며 발한, 창백함, 흉부 압박감이 있다. 호흡음이 감소되거나 소실되고 타진시 과공명음이 들린다. 원발성 자연 기흉은 약 50%에서 재발한다. 수술이 필요한 경우 기흉의 위치 및 크기를 정확하게 평가하고 동반된 다른 질환을 확인하기 위해 CT촬영을 한다.
< 의학적관리 >
- 자연 기흉의 치료 원칙은 공기를 제거하고 흉막강을 효과적으로 폐쇄하여 기흉의 재발을 막는 것이다. 기흉이 있을 때는 산소를 공급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