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석가에 대한 역사적 함의와 해석방안
- 최초 등록일
- 2016.08.27
- 최종 저작일
- 2013.05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500원
소개글
정석가를 역사적 맥락에 따라 해석함
목차
Ⅰ. 서론
Ⅱ. 원문해석
Ⅲ. 정석가에 대한 기존의 해석
Ⅳ. <정석가>의 역사적 맥락
Ⅴ. 역사적 맥락에서 해석한 <정석가>
Ⅵ.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정석가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역사적 맥락을 고려해 정석가의 기존해석을 재해석해 보고자 한다. 먼저 원문해석을 두고, 기존의 해석을 다음 차례로 하여, 역사적 맥락을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석가를 재해석해 결론을 낼 것이다.
Ⅱ. 원문해석
정석가 (鄭石歌)
딩아돌하 당금(當今)에 계샹이다
딩아돌하 당금(當今)에 계샤이다
션왕셩대(先王聖大)예 노니아와지이다
[징이며 돌이며 지금에 계십니다
징이며 돌이며 지금에 계십니다
이 좋은 태평세대에 놀고 싶습니다.]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난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난
구은밤 닷되를 심고이다
그바미 우미도다 삭나거시아
그바미 우미도다 삭나거시아
유덕(有德)하신 님믈 여하아화지이다
[사막과 같은 불모지에
사막과 같은 불모지에
구운 밤 닷 되를 심습니다.
그 밤이 움이 돋아 싹이 나야만
<중 략>
Ⅳ. <정석가>의 역사적 맥락
(주석달아서 -임주탁 적기)
<정석가>가 제작된 연대의 역사적 상황을 유추할 수 있게 해주는 실마리가 몇 가지 있다. 이는 구체적 사실로 역사적 상황을 추리하고 있는 임주탁교수님의 논문에서 차용해왔다.
1. 서경별곡과의 공통된 부분의 존재
[구스리 바희예 디신달
구스리 바희예 디신달
긴힛단 그츠리잇가
즈믄해랄 외오곰 녀신달
즈믄해랄 외오곰 녀신달
신(信)잇단 그츠리잇가]
이는 서경별곡과 정석가의 역사적 생성문맥이 일정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의미한다. 서경별곡은 강화천도를 앞두고 일어난 서경반란 사건을 계기로 ‘서북제성인’들이 ‘몽골‘으로 이탈해 갈 때 생성된 노래이다. 따라서 정석가도 이런 ’서북제성인’들의 역사적 운명과 밀접하게 관련된 상황에 생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2. 정석가의 언어텍스트가 11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
정석가는 11개의 장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장은 세 개의 하위 단위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구성을 제불성현 33천의 가호를 비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면 정석가의 생성 연도를 짐작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임주탁, 『<정석가>의 함의와 생성 문맥 (<鄭石歌>의 含意와 生成 文脈) 』, 2003년
이계양, 『정석가 연구』, 1995
이대규, 『고전문학 : 고려 가요 " 정석가 " 해석』, 1998
손종흠, 『「 정석가(鄭石歌)」 의 ' 삼동(三同)' 에 대하여』, 1998
유경환, 『 정석가(鄭石歌)의 원형적 상징성 』, 2003
박재민, 『 <정석가> 발생시기 』, 2003
유영희, 『< 정석가 > 발상의 현대적 수용 양상 및 그 의의』,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