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F, Pneumothorax case study A+
- 최초 등록일
- 2016.08.17
- 최종 저작일
- 2016.02
- 4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Ⅰ. 서론
1.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2.문헌고찰
Ⅱ. 본론
1.간호사정
2.간호진단
Ⅲ.결론
1.연구결과
2.실습소감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성인건강실습으로 MICU에 있는 환자들을 관찰한 결과 일차적으로 호흡이 힘들어서 문제를 가진 대상자들이 많았다.
그중 기흉 환자에게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기흉이란 공기주머니에 해당하는 폐에 구멍이 생겨 공기가 새고 이로 인해 늑막강 내에 공기나 가스가 고이게 되는 질환이다.
흉강 내로 공기가 유입만 되고 배출이 되지 않을 경우 종격동과 심장이 한쪽으로 쏠려서 발생하는 응급상황인 긴장성 기흉이 발생하기도 한다. 실습 전 학교에서 배운 질병이라 알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대상자를 마주하니 정확한 원인이나 증상, 약물, 치료 등에 대해서 모르는 것이 많았다.
그래서 기흉에 대하여 직접 조사할 수 있는 기회도 있을뿐더러 그 원인이나 증상을 찾아봄으로써 기흉에 대한 지식을 쌒아 앞으로의 성인간호에 좀 더 다가가기 위하여 case study로 정하였다.
2. 문헌고찰
1. 정의
기흉이란 장측 혹은 벽측 늑막의 손상으로 인하여 폐의 허탈 정도에 따라 폐활량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기흉은 개방성 또는 폐쇄성으로 올 수 있다.
기흉은 둔상에 의해 초래되기도 하며 혈흉을 동반하기도 한다.
늑막이란 폐를 감싸고 있는 두 겹의 얋은 막이다.
어떠한 이유에서든지 그 두막 사이(즉 늑막강)에 공기가 차이면 기흉이 된다. 속칭 폐에 공기가 찼다고 말하나 정확한 의미에서는 폐주위에 공기가 차 있는 것을 말한다.
즉, Pnemo는 바람을 의미하고 thorax 는 가슴을 뜻한다.
기흉은 흉부외과에서 흔히 접하는 질환이며 인구 10,000명에 한 명꼴로 발병하는 질환이다.
2. 발생빈도
일차성 자연 기흉의 경우 통계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잘 발생한다.
1) 키가 크고, 마른 사람
통계적으로 저체중인 경우가 68.7%, 정상체중인 경우가 28.7% 이다.
2) 젊은 사람 10, 20대가 전체 발생의 83%를 차지한다.
특히. 고등학교 2,3학년 및 대학교 1학년 학생 및 그 연령대에서 많이 발생한다.
3) 남자
통상 남녀비는 남자가 8배 정도 높다.
4) 담배 피우는 사람
참고 자료
전시자 외. 제5판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김분한 외. 2004. 성인간호학 2. 정담미디어
강지연 외. 2005. 임상간호의 핵심2. 한우리
고일선 외. 2005. 최신임상간호메뉴얼 1. 현문사
손정태 외. 2010. 가본간호학Ⅱ. 현문사
마산대학교 간호학과. 2011. 성인건강간호학 실습지침서. 마산대학교 간호학과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 간호과정 실무지침
의약품정보검색사이트 http://www.druginfo.co.kr/
의약품정보검색사이트 http://www.kimsonline.co.kr/
대한민국의한약정보센터http://www.kimsonli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