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내구성 장애, 급성통증, 불안 간호과정
- 최초 등록일
- 2016.08.16
- 최종 저작일
- 2016.02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모성간호학 실습 때 사용했던 간호과정입니다.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으로 나누어 간호계획을 세웠습니다. 많은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1. 빈혈과 관련된 활동내구성 장애
2. 유방울혈과 관련된 급성통증
3. 아기의 건강상태 악화와 관련된 불안
본문내용
(계획)
● 진단적
1. 매 Duty마다 대상자의 Vital sign을 측정하고 기록한다.
→ 활력징후는 체온, 맥박, 혈압, 호흡을 의미하며 대상자의 신체적 상태를 평가하는 지표로서 매우 중요한 대상자의 사정 방법의 하나이다.
2. 처방에 따라 CBC 검사를 수행한다.
→ CBC를 통해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간호를 수행할 수 있다.
3. 대상자의 어지럽고 힘이 없는 정도를 척도를 통해 사정한다.
→ 지극히 개인적인 감정이므로 숫자척도를 이용하면 대상자의 상태를 객관적이고 정 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4.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을 모니터한다.
→ 효과를 모니터하여 대상자에게 약을 계속적으로 투여할지 중단할지 알 수 있다.
● 치료적
1.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 대상자의 상태를 조금이라도 완화시킬 수 있다.
2. 처방에 따라 수혈을 시행한다.
→ 수혈을 통해 대상자의 부족한 혈액 성분을 보충해 줄 수 있다.
3. 가족들의 적극적인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격려한다.
→ 지지체계가 있으면 정서적으로 의지가 될 수 있다.
참고 자료
전은미 외(2009), 모성간호학 실습 지침서, 수문사
전은미 외(2012), 여성건강 간호학Ⅰ, 수문사
전은미 외(2012), 여성건강 간호학Ⅱ, 수문사
정향미 외(2008),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