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A+ CASE - ST상승 심근경색증, MI
- 최초 등록일
- 2016.08.13
- 최종 저작일
- 2016.04
- 2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원인 및 위험소인
3. 병태생리
4. 증상 및 징후
5. 진단방법
6. 치료
7. 간호
Ⅲ.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의학적 치료내용
3. 간호과정 적용
Ⅳ. 결론 및 제언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전 세계의 약 1,710만 명에 달하는 인구가 매 년 심혈관질환으로 사망하는 등 심혈관 질환은 심각한 질환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다르면 2015년에는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2,000만명에 육박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심혈관 질환은 어느 정도 진행이 되기 전까지 증상이 거의 없다가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돌연사를 일으키는데 이것을 ‘침묵의 살인자’라고 말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다양한 수술법으로 경과가 많이 좋아졌지만 심근경색증 중에서 ST절 상승 심근경색증의 경우에는 약 30~40% 정도의 환자가 사망하고 그 중 50%는 치명적인 심실빈맥으로 사건 발생 하루 안에 사망할 만큼 경과가 좋지 않다, 심혈관질환은 초기에 예방하는것이 가장 중요하므로 심혈관 질환을 잘 알아 두어 질 높은 간호를 제공 하기 위해서 실시 하였다.
Ⅱ.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하나라도 혈전증이나 혈관의 빠른 수축(연축) 등에 의해 급성으로 막히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서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괴사) 상황을 심근경색증이라 한다.
그중 STEMI는 심전도 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분류한다.
2. 원인 및 위험소인
심장 근육은 관상동맥이라고 불러지는 3개의 혈관을 통해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으면서 일생 동안 혈액을 전신으로 펌프질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관상동맥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에는 심장 근육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관상동맥의 구조를 보면, 그 가장 안쪽 층을 내피세포가 둘러싸고 있는데 내피세포가 건강한 경우에는 혈전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흡연 등에 의해서 내피세포가 손상을 받게 되어 죽상경화증이 진행되고, 관상동맥 안을 흐르던 혈액 내의 혈소판이 활성화되면서 급성으로 혈전이 잘 생기게 된다. 이렇게 생긴 혈전이 혈관의 70% 이상을 막아서 심장 근육의 일부가 파괴(괴사)되는 경우가 심근경색증 이다.
참고 자료
전남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www.gjccvc.co.kr/
김금순, 김영숙, 최경옥 외(2013), 성인간호학Ⅰ , 수문사, p.796~813
김수경 권지윤 외 공역(2012), 알기쉬운 임상약리학, 정담미디어, p.157~204, 221~240, 303~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