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적대적 반항장애의 정의
2) 출현율
3) 분류와 진단기준
4) 적대적 반항장애의 원인
5) 특성
6) 치료방법
본문내용
1. 적대적 반항장애의 이해
1) 적대적 반항장애의 정의
적대적 반항장애는 뚜렷하게 반항적이고 불 복종적이고 도발적인 행동을 보이지만, 규칙을 어기거나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반사회적 행동 또는 공격적 행동이 두드러지지 않는 특징을 갖는 장애이다. 일부 학자들은 품행장애와 질적으로 다른 질병이 아니고 품행장애의 경한 형태로 간주하기도 한다.
위키 백과에서 적대적 반항 장애(Oppositional Defiant Disorder,ODD)는 교육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누군가에게 거부감·적대감을 나타내거나 반항적인 행동을 보이는 양상이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되고 또 그러한 행동이 사회적·학업 성취에 큰 지장을 주며 같은 또래에 비해 문제 행동의 빈도가 더 높은 증상을 얘기한다. 적대적인 반항성 장애 또는 반항성 장애라고도 불린다고 정의하고 있다.
2) 출현율
출현율에 대해서는 질병으로의 개념이 아직 확립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그 빈도에서 약 2~20%까지 매우 다르게 보고된다. 여자에 비해 남자에게 2~3배 많고, 과잉 행동증에서 흔히 동반된다.
3) 분류와 진단기준
<표 2-1> DSM-IV-TR의 적대적 반항장애의 진단기준
A. 거부적, 적대적이고 반항적인 행동양상이 최소한 6개월간 지속되며, 다음 중 4개(또 는 그 이상)의 증상이 있다.
· 자주 성을 내고 화를 발끈 낸다.
· 어른과 자주 말다툼을 한다.
· 어른의 요구에 응하거나 규칙에 따르는 것에 자주 반항하거나 거절한다.
· 다른 사람이 화낼 일을 일부러 자주 한다.
· 자신의 실수나 나쁜 행실에 대해 다른 사람을 자주 비난한다.
· 다루기 힘들고, 다른 사람 때문에 쉽게 성을 낸다.
· 화를 내고 성질을 자 부린다.
· 심술을 부리거나 복수심이 강하다.
B. 행동장애가 사회, 학업 또는 작업 기능에 중대한 지장을 초래한다.
C. 문제 행동이 주로 정신질환이나 기분장애의 발병과정에서 발생되는 것이 아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