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도(道)를 담는 그릇, 정도전의 문학사상에 관해 조사하는 과제 입니다.
도(道)를 담는 그릇, 정도전의 문학사상에 관해 작성 했습니다.
도(道)를 담는 그릇, 정도전의 문학사상에 대해 궁금하신 분이 구매해 주시거나,
도(道)를 담는 그릇, 정도전의 문학사상에 관한 리포트 작성이 필요하신 분이 구매해 주세요.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정도전의 생애와 업적
Ⅲ. 정도전의 문학사상
1. 재도지기(載道之器)로서의 문학
2. 현실의식
3. 자연과 관물의식
Ⅳ. 마치며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고려 말기는 역사상 어떤 시기보다 가장 뜨거웠다고 평가될 만큼 큰 변혁과 진통을 겪어왔던 시대였다. 고려 말의 부패하고 부조리한 사회의 모순 속에서, 성리학이라는 새로운 이념으로 무장한 신진세력은 구시대와의 치열한 정치적 투쟁 끝에 새로운 국가 조선을 탄생시켰다. 이토록 격렬했던 역사의 한 시점을 살았던 많은 인물들 중, 가장 역사의 기억에 남을 만한 한 사람이 바로 정도전이다. 정도전은 혁명을 성공시키고 조선을 건국한 일등공신으로서, 조선을 든든한 반석위에 올려놓았지만, 한편으로는 여러 부정적인 평가도 많이 받고 있는 인물이기도 하다. 불교를 배척하고 유학을 숭상하며, 이러한 이념을 바탕으로 새로운 나라를 이끌어가고자 했던 정도전의 사상은 그의 문학에도 잘 반영되어 나타나있다. 본고에서는 정도전의 문집에 수록된 여러 글에서 발견되는 그의 문학사상 중 특징적인 점을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Ⅱ. 정도전의 생애와 업적
삼봉 정도전은 1342년 고려 충혜왕 3년, 경북 영주에서 정운경의 장남으로 출생하여, 자라서는 이색의 문하로 들어가 수학하였다. 1362년(공민왕 11년)에 진사시에 합격하여 관직에 올라 여러 많은 벼슬을 지냈다. 1375년(우왕 1년)에는 이인임 등의 친원배명 정책에 반대했다는 이유로 현재 전남 나주 회진현에서 유배생활을 하게 된다. 이후 1377년에 유배를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와 학문연구와 후진양성에 힘쓰며, 특히 주자학적 입장에서 불교배척론을 체계화하였다. 또한 이성계의 우익으로서, 당시 조정의 구세력을 몰아내고 전제개혁을 단행하여 과전법을 실시하게 함으로써 조선 개국의 정치, 경제적 토대를 마련하였고, 결국 조준 등과 함께 이성계를 왕으로 추대하여 조선 건국에 큰 공을 세우게 되었다. 1394년(태조 3년) 한양천도 때는 궁궐과 종묘의 위치 및 도성의 기지를 결정하고 궁·문의 모든 칭호를 정했으며, <조선경국전>을 편찬하여 법제의 기본을 확립했다. 그 후 제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이방원에게 피살되었다.
참고 자료
김종진, 「정도전(鄭道傳) 문학관(文學觀)의 몇 가지 양상들」, 한국어교육학회, 2008
김종진, 「가석 홍일식 교수 화갑기념호 : 한문학 ; 여말 한문학의 몇 가지 양상들 -이상과 정도전을 중심으로-」, 『어문논집』, 민족어문학회, 1996
김종진, 「정도전 문학의 연구 : 이조 건국 이전의 시·문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민족 문학연구원, 1980
김종서, 「삼봉(三峯) 정도전(鄭道傳) 시(詩)의 표현(表現) 양상(樣相)과 미의식(美意識)」,『한국한시연구』, 한국한시학회, 2010
정상균, 「정도전의 시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2007
김영수, 「정도전 악장문학 연구」, 단국대학교 동양학 연구소,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