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 행정체계(정치, 행정체계)
1. 목표
2. 정부의 성격(특징)
3. 정부체제의 구성
4. 정부체제의 구성(변화와 개혁)
5. 체제의 동태적 과정
Ⅲ. 통제
1. 외부통제
2. 내부통제
Ⅳ. 결론(정권의 시사)
◎ 참고문헌 ◎
본문내용
5) 행정개혁
정부혁신(행정개혁)과정은 전례가 없는 새로운 도전이자 시도이기 때문에 기대한 성과를 낳을지, 저항을 극복하고 제대로 집행될 수 있을 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매우 높다. 평가활동은 정부혁신과정에 대한 정보를 산출함으로써 이러한 불확실성을 제거하거나 완화할 수 있다. 평가는 다양해진 정책참여자들에 대한 객관적인 정책과정 및 성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시정조치와 새로운 정책결정의 합리성과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그 동안 행정부의 정책집행자가 아닌 의회와 민간부문의 참여자들의 정책참여의 폭과 질이 정책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제약되어 왔는데, 전 국민의 지대한 관심의 대상인 정부혁신 과제에 대한 양질의 정보를 평가활동을 통해 공개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국민참여의 양과 질을 높이는 방법을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참고자료
· 1. “중앙정부 조직개편과 기능조정 연구”, 김동욱, 김태윤, 이창원
· 한국행정학회(www.kapa21.or.kr) 2003년 자료실, #56
· 2. “참여정부의 인사시스템 개혁방안”, 서원석
· 한국행정학회(www.kapa21.or.kr) 2003년 자료실, #28
· 3. “정부혁신 평가 및 결과 활용”, 김동욱
· 한국행정학회(www.kapa21.or.kr) 2003년 자료실, #80
· 4. 연합뉴스, 2003년 6월 3일자
· 5. 디지털타임스, 2003년 6월 3일자
· 6. 한국일보, 2003년 5월 28일자
· 7. 조선일보, 2003년 5월 28일자
· 8. 뉴스메이커, 2003년 5월 30일자
· 9. 한국일보, 2003년 5월 8일자
· 10. 중알일보, 2003년 5월 30일자
· 11. 동아일보, 2003년 02월 27일자
· 12. 한겨레신문, 2003년 5월 7일자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