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한국 메세나 현황
- 최초 등록일
- 2003.06.30
- 최종 저작일
- 2003.06
- 19페이지/
MS 워드
-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구체적인 데이타도 나와 있는 구하기 힘든 자료입니다.
목차
1. 메세나란 무엇인가?
1-1. 후원•협찬과 메세나
1-2. 메세나의 발전
2. 기업 메세나의 중요성
3. 기업 메세나로 얻을 수 있는 효과
4. 해외의 기업 메세나 사례
4-1. 기업과 문화예술의 협력을 통한 이익 산출
4-2. 기업 이미지 상승
4-3. 조직 구성원의 관심 지속
4-4. 경제 활력 증대
5. 한국의 기업메세나 사례와 문제점
5-1. 사례
5-1-1. 쌈지
5-1-2. 금호문화재단 (2002년 메세나 기업 대상 수상)
5-1-3. 삼성문화재단 (1999년 기업 메세나 대상 수상)
5-2. 한국 기업 메세나의 문제점
5-2-1. 질적 수준 하락
5-2-2. 기반시설 미흡
5-2-3. 비효율적인 운영과 결과
5-2-4. 전략과 지원의 부재
5-2-5. 턱없이 부족한 예술단체에 대한 기업의 지원
6. 결론
본문내용
1. 메세나란 무엇인가?
메세나(Mêcênat)는 고대 로마제국의 정치가이자 외교관이며 문예 보호 운동에 전심전력한 인물인 가이우스 마에케나스(Gaius Cilinius Maecenas)의 이름에서 유래한 프랑스어이며 원래는 “예술과 문화, 과학에 대한 두터운 보호와 지원”을 의미했지만 현대에 와서는 보다 넓게 쓰여져 “스포츠 지원, 사회적·인도적 입장에서의 공익사업 지원”의 뜻까지 포괄한다.
영어로는 패트로니지(patronage)와 동의어이며, 박애정신(philanthrophy)에 근거해 있기 때문에, 협찬을 의미하는 스폰서십(sponsorship)과 다른 시혜적 성격의 지원활동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기업과 예술이 호혜주의 원칙에 입각해 상호이익을 추구하는 파트너십(partnership)을 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관점에서 메세나의 본래 의미와는 다소 다르게 이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참고 자료
한국기업메세나협의회,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전략 연구』, 2002
김소영, 『기업 이미지와 문화예술 마케팅 전략』, 2002
삼성경제연구소, 『기업의 사회적 책임, 현황과 과제』, (제100호), 1997
심상민, 『문화마케팅의 부상과 성공전략』, 삼성경제 연구소,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