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편 학이(學而)
[學而第一_01]
子曰,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공자가 말했다. 배우고 때때로 그것을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않은가? 벗이 먼 곳에서 찾아오면 또한 즐겁지 않은가? 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성내지 않는다면 또한 군자답지 않은가?
[學而第一_02]
有子曰, “其爲人也孝弟, 而好犯上者, 鮮矣,
不好犯上, 而好作亂者, 未之有也.
君子務本, 本立而道生. 孝弟也者, 其爲仁之本與!”
유자가 말했다. “그 사람됨이 효성스럽고 공손하면서 위사람 해치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드물다. 윗사람 해치기를 좋아하지 않으면서 질서를 어지럽히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있지 않다. 군자는 근본에 힘쓰는 것이니, 근본이 확립되면 도가 생겨난다. 효도와 공경이라는 것은 바로 인을 실천하는 근본이니라!”
[學而第一_03]
子曰, “巧言令色, 鮮矣仁!”
공자가 말했다. “말을 교묘하게 하고 얼굴빛을 곱게 꾸미는 사람들은 인이 드물다.”
[學而第一_04]
曾子曰, “吾日三省吾身, 爲人謀而不忠乎? 與朋友交而不信乎? 傳不習乎?”
증자가 말했다. “나는 날마다 세 가지 점에 대해 나 자신을 반성한다. 남을 위하여 일을 꾀하면서 충실하지 못한 점은 없는가? 벗과 사귀면서 신의를 지키지 못한 일은 없는가? 전수 받은 것을 제대로 익히지 못한 것은 없는가?”
[學而第一_05]
子曰, “道千乘之國, 敬事而信, 節用而愛人, 使民以時.”
공자가 말했다. “나라를 다스릴 때는 일을 신중하게 처리하고 신뢰를 얻어야 하며, 씀씀이를 절약하고 사람들을 사랑해야하며, 백성들을 부릴 때는 때를 가려서해야 한다.”
[學而第一_06]
子曰, “弟子, 入則孝, 出則悌, 謹而信, 汎愛衆, 而親仁.
行有餘力, 則以學文.”
공자가 말했다. “젊은이들은 집에 들어가서는 부모님께 효도하고 나가서는 어른들을 공경하며, 말과 행동을 삼가하고 신의를 지키며, 널리 사람들을 사랑하고 인한 자와 친하게 지내야 한다. 이렇게 행하고서 남은 힘이 있으면 그 것으로 글을 배우는 것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