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군관련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ppt

"군관련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ppt"에 대한 내용입니다.
26 페이지
파워포인트
최초등록일 2016.07.08 최종저작일 2016.05
26P 미리보기
  • 1
  • 224+
  • 3
  • 422+
  • 5
  • 620+
  • 7
  • 818+
  • 9
  • 1016+
  • 11
  • 1214+
  • 13
  • 1412+
  • 15
  • 1610+
  • 17
  • 188+
  • 19
  • 206+
  • 21
  • 224+
  • 23
  • 242+
  • 25
  • 26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군관련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ppt
  • 미리보기

    1 / 26
    오른쪽 화살표

    목차

    1.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란?
    2. 전쟁의 역사 속 명칭의 변화
    3. 포탄충격(Shell Shock)의 연구
    4. 증상
    5. 외상적 사건의 1, 2, 3차 피해자 분류
    6. 기간
    7. 해마 손상의 메카니즘
    8. 유병률
    9. 고위험군
    10. 진 단
    11. 임상에서 진단 시 한계점
    12. 치 료
    13.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 주요증상과 치료법
    14. 대한민국 제대군인 의료(외상후스트레스장애 포함) 관리체계
    15. PTSD 클리닉 운영 현황
    16.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중장기 경영목표
    17. 국방부 병영혁신
    18.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병영캠프 프로그램
    19. 미국 외상후스트레스장애 관리체계
    20. 21개 제대군인 통합관리망
    21. 미국 군별 외상후스트레스장애 관리를 위한 전문인력 배치 현황
    22. 미국의 상이보상금(Disability Compensation)
    23. 참고문헌

    본문내용

    외상후스트레스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란 일반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스트레스의 한계를 벗어나 한 개인의 생명을 위협하는 신체적, 정서적 충격(강간, 폭력, 학대, 사고, 상해, 범죄, 전쟁, 대학살, 태풍, 쓰나미 피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목격하는 경우)으로 노출된 후 지속적으로 문제가 되는 생물학적· 심리적인 순응 양상으로 기억, 회피, 정서적 망연자실, 과각성, 과민경계, 심리적 고통을 의미한다(Breslau et al., 199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APA], 2000, Julian D. Ford et al., 2012).

    <중 략>

    재경험(reexperience): 외상적 사건들에 대한 기억이 생활 속에서 지속적으로 떠오르고, 악몽을 꾸면서 외상적 사건들이 재현(flashback) 됨. 회피와 무감각(avoidance and numbing): 외상을 불러일으키는 생각, 느낌, 대

    참고자료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87.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3rd edition-revised. 3rd ed. Washington, DC: Author.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 4th Edition. Washington, DC: Author.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TR, Text Revision. Washington, DC: Author.
    · Armen Goenjian. 2012. Association of TPH1, TPH2, and 5HTTLPR with PTSD and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JAD-05478; P. 9.
    · Bessel A. van der Kolk, Susan Roth, David Pelcovitz, Susanne Sunday, and Joseph Spinazzola. 2005. Disorders of Extreme Stress: The Empirical Foundation of a Complex Adaptation to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8(5): 389–399.
    · Foa,E.B.Cashman,L.,Jaycox,L.,& Perry,K. 1997,The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of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Psychological Assessment. 9(4): 445-451.
    · Foa, E. B., Hembree, E. A., Cahill, S. P., Rauch, S. A., Riggs, D. S., Feeny, N. C., & Yadin, E. 2005). Randomized trial of prolonged exposure for PTSD with and without cognitive restructuring: Outcome at academic and community clinic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3: 953-964.
    · Foa, E. B., Hembree, E. A., & Rothbaum, B. O. 2007. Prolonged exposure therapy for PTSD: Emotional processing of traumatic experiences. NY: Oxford University Press.
    · Horowitz, M. J., Wilner, N., & Alvarez, W. 1979. Impact of Event Scale :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41: 209-218.
    · 공정식. 2015. 우리나라 강력범죄 피해자들의 PTSD에 관한 연구: 살인, 살인미수, 방화, 기타 폭력의 피해자. 한국범죄심리연구. 11(2): 29-50.
    · 구정일, 김태형, 은헌정, 최말례, 이선미, 조수진 등. 2006. 한국판 임상가용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PTS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45: 571-577.
    · 구정환 등. 2014. 이명ㆍPTSDㆍCRPS의 신체검사 및 상이등급심사의 적정 방안 연구: 국가보훈처 용역 보고서. 카톨릭대학교 의과대학.
    · 국가보훈처. 2009. 보훈심사제도 발전방안 연구.
    · 국가보훈처. 2013. 미국 제대군인 및 유·가족 보상제도 개요.
    · 신재현, 김희철, 정철호, 김정범, 정성원, 조현주, 정성훈. 2013. 한글판 우울증 선별 도구(Patient Health Qustionnaire-2)의 표준화 연구.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52: 115-121.
    · 공무국외연수 결과보고서(안산단원구보건소). 2015. 재난심리지원 선진기권 방문.
    · 김현수. 2013. 국립정신건강연구원 연구예산 규모 타당성 설계조사 연구: 국립정신보건교육․연구센터 위탁연구 보고서. 갈렙앤컴퍼니. 외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하는 자료는 질이 매우 높고,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인상적입니다.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활용하기 편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0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