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관련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ppt
*서*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1.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란?2. 전쟁의 역사 속 명칭의 변화
3. 포탄충격(Shell Shock)의 연구
4. 증상
5. 외상적 사건의 1, 2, 3차 피해자 분류
6. 기간
7. 해마 손상의 메카니즘
8. 유병률
9. 고위험군
10. 진 단
11. 임상에서 진단 시 한계점
12. 치 료
13.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 주요증상과 치료법
14. 대한민국 제대군인의료(외상후스트레스장애 포함) 관리체계
15. PTSD 클리닉 운영 현황
16.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중장기 경영목표
17. 국방부 병영혁신
18.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병영캠프 프로그램
19. 미국 외상후스트레스장애 관리체계
20. 21개 제대군인 통합관리망
21. 미국 군별 외상후스트레스장애 관리를 위한 전문인력 배치 현황
22. 미국의 상이보상금(Disability Compensation)
23. 참고문헌
본문내용
외상후스트레스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란 일반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스트레스의 한계를 벗어나 한 개인의 생명을 위협하는 신체적, 정서적 충격(강간, 폭력, 학대, 사고, 상해, 범죄, 전쟁, 대학살, 태풍, 쓰나미 피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목격하는 경우)으로 노출된 후 지속적으로 문제가 되는 생물학적· 심리적인 순응 양상으로 기억, 회피, 정서적 망연자실, 과각성, 과민경계, 심리적 고통을 의미한다(Breslau et al., 199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APA], 2000, Julian D. Ford et al., 2012).<중 략>
재경험(reexperience): 외상적 사건들에 대한 기억이 생활 속에서 지속적으로 떠오르고, 악몽을 꾸면서 외상적 사건들이 재현(flashback) 됨. 회피와 무감각(avoidance and numbing): 외상을 불러일으키는 생각, 느낌, 대
참고 자료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87.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3rd edition-revised. 3rd ed. Washington, DC: Author.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 4th Edition. Washington, DC: Author.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TR, Text Revision. Washington, DC: Author.
Armen Goenjian. 2012. Association of TPH1, TPH2, and 5HTTLPR with PTSD and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JAD-05478; P. 9.
Bessel A. van der Kolk, Susan Roth, David Pelcovitz, Susanne Sunday, and Joseph Spinazzola. 2005. Disorders of Extreme Stress: The Empirical Foundation of a Complex Adaptation to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8(5): 389–399.
Foa,E.B.Cashman,L.,Jaycox,L.,& Perry,K. 1997,The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of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Psychological Assessment. 9(4): 445-451.
Foa, E. B., Hembree, E. A., Cahill, S. P., Rauch, S. A., Riggs, D. S., Feeny, N. C., & Yadin, E. 2005). Randomized trial of prolonged exposure for PTSD with and without cognitive restructuring: Outcome at academic and community clinic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3: 953-964.
Foa, E. B., Hembree, E. A., & Rothbaum, B. O. 2007. Prolonged exposure therapy for PTSD: Emotional processing of traumatic experiences. NY: Oxford University Press.
Horowitz, M. J., Wilner, N., & Alvarez, W. 1979. Impact of Event Scale :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41: 209-218.
공정식. 2015. 우리나라 강력범죄 피해자들의 PTSD에 관한 연구: 살인, 살인미수, 방화, 기타 폭력의 피해자. 한국범죄심리연구. 11(2): 29-50.
구정일, 김태형, 은헌정, 최말례, 이선미, 조수진 등. 2006. 한국판 임상가용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PTS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45: 571-577.
구정환 등. 2014. 이명ㆍPTSDㆍCRPS의 신체검사 및 상이등급심사의 적정 방안 연구: 국가보훈처 용역 보고서. 카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국가보훈처. 2009. 보훈심사제도 발전방안 연구.
국가보훈처. 2013. 미국 제대군인 및 유·가족 보상제도 개요.
신재현, 김희철, 정철호, 김정범, 정성원, 조현주, 정성훈. 2013. 한글판 우울증 선별 도구(Patient Health Qustionnaire-2)의 표준화 연구.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52: 115-121.
공무국외연수 결과보고서(안산단원구보건소). 2015. 재난심리지원 선진기권 방문.
김현수. 2013. 국립정신건강연구원 연구예산 규모 타당성 설계조사 연구: 국립정신보건교육․연구센터 위탁연구 보고서. 갈렙앤컴퍼니.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