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자료는 항성의 분광형과 온도에 대해 쓴 글입니다. 항성의 온도는 분광형을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좋은 자료되길 바랍니다.
목차
1. 항성대기의 물리적 특성
2. 항성대기의 온도
3. 별의 스펙트럼 분류
4. H-R도 그리고 항성의 등급과 색의 관계
5. 항성 대기의 중원소 함량
6. 광도의 분류
7. 색-색도
8. 항성대기의 원소함량에 따른 별의 종류
9. 분광시차법과 주계열맞춤법
본문내용
별의 스펙트럼은 분광측광기를 통하여 나타낸다. 별의 스펙트럼 분류는 Cannon과 Leavitt주도로 발전되었으며, 1910년 국제적으로 Harvard spectral classification system이 채택되었다. 현재는 온도 감소에 따라 OBAFGKM로 분류하고 있는데 가장 고온의 조기형 별은 O형 별이며, 가장 저온의 만기형 별은 M형 별이다. O형 별은 가장 고온의 푸른 별로 강한 흡수선 혹은 방출선을 갖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또한 비교적 적은 수소의 선이 존재한다. B형 별은 고온의 푸른 별이지만 O형 보다 온도는 낮다. 주로 선이 지배적이며, 점점 수소 발머선이 증가하기 시작한다. A형 별은 푸른 별로 이온화된 금속선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A0별의 경우 수소 발머선의 세기가 최대이다. 대표적으로 거문고자리 직녀성 등이 A0별이다. 그리고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선의 세기가 증가한다. F형 별은 흰 별로 수소선의 세기는 약해지고 중성 금속선의 세기가 증가한다. G형 별은 태양과 같은 별로 노란색 혹은 주황색의 별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