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기업 사례 연구 -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을 중심으로
*재*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I. 서론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범위
3. 연구 방법
II. 이론적 논의
1. 사회적 기업과 사회적 협동조합
1) 사회적 기업의 개념
2) 사회적 기업의 유형 및 특징
3) 사회적 협동조합의 개념
2.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기업
1)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의 의의
2)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의 형태
3)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의 일반 현황
III. 사례 조사
1. 취약계층 지원형
1) 자바르떼
가. 컨텐츠 내용
나. 컨텐츠 특징
다. 성공요인
2. 지역네트워크 구축형
1) 노리단
가. 컨텐츠 내용
나. 컨텐츠 특징
다. 성공요인
Ⅳ. 시사점
1. 유형별 공통점 및 차이점
2. 우리나라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의 한계
V.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I. 서론1. 연구배경 및 목적
자본주의는 인류 사회의 빠른 발전과 성장을 가져 왔지만 부정적인 결과도 가져 왔다. 사회적 양극화 현상과 사회적 배제계층의 양상, 고용 없는 성장, 환경 파괴 등의 부정적인 결과는 전 지구적인 문제가 되었다. 또한 빈부격차의 심화, 고령화의 급속한 진행, 그리고 청년실업 등과 같은 사회의 양극화 문제는 갈수록 심각한 상태로 인해 이미 우리 사회가 꼭 해결해야 할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의 주도로 사회적 일자리의 또 다른 지원형태인 사회적 기업(Social Enterprise)을 통해 정부가 해결하고 있지 못하는 사각지대를 민간이 주체가 되어 해당 지역에서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더불어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려하고 있다. 사회적 문제 해결과 더불어 최근 경제성장과 함께 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사람들의 지적 수준 향상과 ‘삶의 질 향상‘이라는 사회적인 욕구가 늘어났고, 욕구 충족을 위해 자연스럽게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다. 이는 사회적 기업에 대한 관심 또한 문화예술분야로 확장되게 하는데 기여를 하게 되었다. 2007년 문화예술분야의 사회적 기업은 불과 2곳 밖에 없었으나 2016년 231개로 전체의 약 15%를 차지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는 2009년 문화체육관광부와 노동부가 문화예술·체육·관광 분야에서 200여개의 사회적 기업을 육성해, 3000여개의 사회적 일자리 창출을 골자로 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기 때문에 2010년부터 괄목할만한 양적 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을 알아보고, 그들이 제공하는 문화 컨텐츠에 초점을 맞추어 컨텐츠 내용과 특징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또한 사례를 통해서 문제점이나 한계를 인식하여 앞으로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기업들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2. 연구범위
본 연구에서는 2007년 사회적 기업 육성법이 제정된 후 법률에 의한 인증 요건을 충족하고 고용노동부로부터 인증과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 등록된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참고 자료
강일혁(2010), 「문화예술 사회적 기업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김구슬(2014),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의 사회경제적 효과」,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송영선(2011), 「공연예술분야 사회적기업 유형별 수익 모델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수민(2014),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기업 실태 및 발전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승민(2013), 「사회적 기업을 통한 문화복지 활성화 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유진(2013),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의 성공요인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홈페이지, (http://www.socialenterprise.or.kr).
허법(Hubbub) 공식 홈페이지, (http://hubbubmusic.org).
자바르떼 공식 홈페이지, (http://www.artepla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