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암에 대한 CASE입니다
직접 케이스환자 잡아서 했구요 진단 5개 잡았습니다
고생해서 만들어서 성적도 잘 받았어요 ^^
사면 후회없으실꺼에요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Ⅱ. 본론(case study)
1. 일반적 자료
2. 간호과정
Ⅲ. 결론
1. 결론
2. 제언
3.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갑상선암은 갑상선에 혹이 생긴 것으로 갑상선 결절 또는 종양이라고 한다. 최근 2015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13년에 우리나라에서는 225,343건의 암이 발생했는데, 그 중 갑상선암이 남녀를 합쳐서 42,541건, 전체 암 발생의 18.9%로 1위를 차지했다. 그만큼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암이기도 하고 갑상선암은 치료만 잘 받으면 일상생활에 문제가 없는 안전한 암으로 인식되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그 종류에 따라 진행 속도도 달라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본인의 주위 가족, 친구, 동료들도 갑상선암으로 치료 받은 적이 있는 만큼 갑상선 암에 대한 문헌고찰, 이론적인 공부를 바탕으로 케이스 환자를 사정하여 환자의 간호문제를 간호과정에 적용하여 조금이나마 환자의 치료 및 갑상선암 환자를 간호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고자 했다.
2. 문헌고찰
1) 정의
갑상선암이란 악성화된 갑상선 세포의 집단으로 갑상선에 생긴 악성종양이다. 일반적으로 유두성(papillary), 여포성(follicular), 수질성(medullary), 이형성(anaplastic)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며, 이 중 유두성암이 가장 흔한 형태이다. 다른 부위의 암과는 달리 적절하게 치료하면 거의 정상 수명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경과와 예후가 좋다. 갑상선 종양 중에서 특히 악성종양을 의심할 수 있는 소견은 여자보다는 남자, 고령층 보다는 젊은층, 경부에 방사선 조사 경력이 있는 사람, 여러 개의 결절보다 한 개의 결절이면서 딱딱하게 촉지되는 경우이다. 암은 주위의 림프절에 전이할 뿐만 아니라, 혈행성으로 폐·뼈·뇌 등에도 옮아간다.
2) 분류
① 유두성암 (papillary carcinoma)
유두암은 갑상선암 중 가장 흔하고, 젊은 여성에게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매우 느리게 성 장하며 작은 버섯 모양의 세포가 모여 종양을 형성한다. 종양이 갑상선에 국한되어 있으 면, 부분 또는 전상선절제술로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