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계법, 도정법,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도시정비법, 행정중심복합도시특별법 절차, 특징 및 문제점
목차
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에 나오는 계획의 종류와 그 관계를 논하라.
2.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일명, 도정법) 상의 도시정비절차 관계를 논하라.
3.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특별법의 특별법적인 요소와 문제점을 논하라.
본문내용
(1) 광역도시계획 : 광역계획권 지정(법 제10조)에 따라 지정된 광역계획권의 장기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계획을 말한다.
- 5년마다 타당성 검토 없음. 행정쟁송 불가능. 실효 X. 수립단위 X.
- 광역계획권 지정권자 : 국토부장관, 도지사
- 둘 이상의 특별시, 광역시, 시, 군 전부 또는 일부(구군읍면 단위)의 공간구조 및 기능을 상호연계, 환경보전, 광역시설을 체계적으로 정비하기 위하여 지정
① 광역계획권이 둘 이상의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특별자치도의 관할 구역에 걸쳐 있는 경우 : 시도시군 의견청취 -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및 국토부장관이 지정 변경
② 광역계획권이 도의 관할 구역에 속하여 있는 경우 : 시도, 시군, 관련 중앙행정기관의 의견 청취 - 지방도시계획위원회 심의 - 도지사가 지정 변경
(2) 도시·군계획 :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특별자치도·시 또는 군(광역시의 관할 구역에 있는 군은 제외한다. 이하 같다)의 관할 구역에 대하여 수립하는 공간구조와 발전방향에 대한 계획으로서 도시·군기본계획과 도시·군관리계획으로 구분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