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진보적인 성향이 강한 동물이다. Abraham Maslow의 욕구 계층 이론을 빌려서 설명해보자면 과거에 인간의 모습은 본능에 충실했으며, 가장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 (physiological needs), 안전의 욕구 (safety needs), 그리고 소속과 사랑의 욕구(belongingness and love needs)를 갈망했을 것이다. 이러한 욕구들이 채워지면서, 자아존중(esteem needs)을 찾는 데에 중시하게 되고, 또 그 단계를 넘어서서는 알고 이해하기(know & understand)에 대한 욕구, 그리고 미(美)적 욕구 (aesthetic needs)를 갖게 된다. 이 단계가 바로 필자가 어필하고 싶은 부분인데, 아마도 우리 사회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자리인 듯 하다.과거의 농업혁명에 이어서, 산업 혁명을 거치고, 이제는 정보화 시대에 접어들은 지도 꽤 되었다. 정보화 시대란 Daniel Bell에 따르면 “정보와 지식이 사회적.경제적 교환수단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회"이다 (뉴미디어와 초정보 사회). 과거에는 지역적 경계와 기술의 부재로 인해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한정되어 있었지만, 현재에는 정보의 흐름이 그 어느 때보다도 자유롭기 때문에, 접근성 또한 용이해졌다. 물론 Digital Divide 라는 모순적인 개념은, 정보화 시대가 꼭 평등한 지식 공유 라는 측면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하지만, 어쨌든 과거에 비해서 정보의 흐름이 수월해 졌다는 점만은 명확한 사실이다. 그렇게 해서 우리 사회는 앞서 제시한 Maslow의 욕구 계층 이론에서 “Know & Understand”에 단계에 이르렀다. 그리고 정보화 시대와 디지털 시대에 들어선 우리는 이제 “창(創)의 시대”에 직면해있다. 이전에는 기술적이고 기능적인 측면에만 치중한 발전이 이루어졌다면, 이제는 미(美)적인 측면이 더해진 기술발전이 추구되고 있는데, 이는 Maslow의 욕구 계층 이론으로 말하자면 “Aesthetic needs”단계에 부합한다고 볼 수
참고자료
· 강현두, and 원용진. "뉴미디어와 사회." 뉴미디어와 초정보사회 (Dec. 1994): 13. Rpt. in 유네스코 커뮤니케이션 기초자료집. N.p.: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n.d. N. pag. Print.
· "광주비엔날레." Gwangju Biennale. 재단법인 광주비엔날레, n.d. Web. 14 June 2011. <http://www.gb.or.kr/?mid=sub&mode=02&sub=01&tab=2011>.
· 김상훈, and 비즈트렌드 연구회. 앞으로 3년 세계 트렌드. Seoul, Korea: 한스 미디어, 2009. Print.
· MBC. MBC 컬쳐 리포트: 2010 트렌드 웨이브. Seoul, Korea: 북하우스 퍼블리셔스, 2009. Print.
· 문화뉴스팀. "두산아트센터, 발로치는 대형 피아노 선보여." 문화저널21. N.p., 15 Mar. 2010. Web. 12 June 2011.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