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본 론
1. 문화제국주의
1) 문화제국주의의 정의
2) 종속이론
3) 문화제국주의의 과정
4) 문화제국주의의 사례
2. 한류
1) 한류의 정의 및 효과
2) 한류의 전개과정
3. 한류와 문화제국주의의 공통점과 차이점
1) 한류와 문화제국주의와의 공통점
2) 한류와 문화제국주의와의 차이점
Ⅲ. 결 론- 한류의 미래
참고 자료
본문내용
Ⅰ. 서론
‘한류’란 1990년대 말부터 아시아에서 일기 시작한 한국 대중문화의 열풍이다. 한류는 1990년대 말 중국 시장의 한국 아이돌과 드라마의 진출로 시작되어 지난 10여 년 동안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 한국 드라마와 아이돌 그룹의 인기는 현지의 드라마와 아이돌의 인기를 뛰어넘는 것은 물론 이러한 현상이 더 이상 놀랄만한 일이 아닐 만큼 당연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제 한류는 아시아를 뛰어넘어 새로운 단계에 진입하고 있다. 한류가 유럽과 중동은 물론 라틴아메리카까지 전달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한 유투브, 페이스북, 트위터 등 다양한 소셜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가능해졌다. 최근 ‘강남스타일’이라는 노래로 전 세계를 ‘말춤’으로 열광하게 만든 싸이는 이를 대표하는 예이다. 브리트니, 휴잭맨, 마돈나 등 세계적인 스타는 물론이고, 지구반대편에 있는 남미의 한 축구 선수는 골을 넣고 기쁨의 표현으로 말춤을 추기도 했다. 그리고 결국 11월24일 오후 6시50분 싸이의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는 803,695,387뷰를 기록, 803,442,177뷰를 기록 중인 저스틴 비버의 ‘베이비’를 제치고 유튜브에서 가장 많이 조회된 영상이 됐다. 공개한지 52일 만인 9월4일 1억뷰를 돌파한 ‘강남스타일’은 전 세계적인 히트를 발판 삼아 29일 3억 뷰를 돌파했으며 마침내 8억 뷰를 돌파했다. 또한 저스틴 비버의 ‘베이비’가 가지고 있던 최다뷰 기록도 빼앗았다. 기존의 ‘베이비’가 3년 만에 세운 기록을 ‘강남스타일’은 약 3달 만에 갈아치운 것이다. 비록 싸이의 노래 그 자체를 가지고 진정한 ‘한류’라고 하기에는 논란이 있을 수 있다.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한국의 대중가요라는 것 이외에는 기타 한국만의 문화가 담겨있다고 보기는 힘들기 때문 이다. 이는 싸이 뿐만 아니라 다른 아이돌 가수들도 마찬가지 이다.
참고자료
· 좀 톰린슨,「문화 제국주의」, 강대인 역, 나남 출판, 1994
· 진달용, 「문화 제국주의의 재해석」,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 임동욱,「세계화와 문화제국주의」,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 송승혜, 유럽의 한류와 k-pop 팬덤 형성 과정과 그 의미, 세종대학교, 2011
· 박재홍, 글로벌 한류 동향 및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2011
· 네이버 지식사전
· 네이버 백과사전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