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논문인용
1) 초등학생의 태보운동이 체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2013년. 하창덕외 5명)
2. 자료인용
1) 체육교육의 새로운 가능성 (장학자료집. 서울시교육청. 2011.03)
3. 요약정리
본문내용
③분석항목 및 방법
㉠인체측정
: 자동측정 장비(DS-102, Jenix Co., Lorea)를 이용하여 측정
㉡체력측정
: 학생건강체력평가제(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PAPS)의 체력항목을 바탕으로 단계별 음악과 함께 주어진 시간동안 15미터 거리를 왕복하여 달릴수 있는 능력(횟수)를 평가하는 왕복 오래달리기(Pacer)를 실시
㉢BDNF측정
: 12시간 공복상태에서 진공 채혈관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상완정맥에서 정맥혈을 약 8ml가량을 채혈한 다음 실온에 30분간 정치한 후 3000rpm에서 5분관 원심분리기(MF 300, Hanil, Korea)를 이용하여 혈청을 분리하였고, 혈중 BDNF(brain-dervied nurotrophic factor; BDNF)수준 검사는 채혈된 혈액에서 혈청을 이용하여 ELISA(enzyme-linked immunosorbant assay)방법으로 분석
㉣학업성취도 평가
: 2011년 연구대상자들이 소속된 학교에서 동일한 난이도로 구성된 국어, 사회, 과학, 수학, 영어 시험을 태보운동 사전과 사후 총 2회에 걸쳐 실시함으로서 학업성취도를 측정
㉤12주 태보운동
: 본 연구의 태보운동 프로그램은 0교시(매회 오전 8시 10분)를 활용하여 자각운동강도(Rating of Perceived Exertion sscale) 13수준(약간 힘든)의 중강도의 태보 운동을 적용. 프로그램 구성은 준비운동(스트레칭) 5분, 본 운동(태보운동) 30분, 정리운동(스트레칭) 5분으로 매회 40분, 주 3회(월, 수, 금요일)의 빈도로 총 12주간 태보 강사의 지도에 따라 실시
➃연구결과
㉠태보운동에 따른 측정변인의 변화
: 연구결과, 신장(p<0.001), 체력(p=0.018), 국어(p<0.001), 수학(p=0.01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체중, 사회, 과학, 영어는 운동 중재 사전 및 사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