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수 손상(SCI, Spinal cord injury), 성인간호학, 컨퍼런스, 간호과정
- 최초 등록일
- 2016.05.31
- 최종 저작일
- 2015.1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성인간호 실습가서 작성한 자료입니다.
간호과정 하나하나 다 직접 작성하였고 교수님이 완벽하게 작성하였다고 칭찬하셨습니다.
간호 중재, 이론적 근거 보시면 후회없으실 겁니다.
꼼꼼하게 작성하여 A+ 자신있게 보장합니다.
목차
1. 정 의
2. 원인 및 빈도
3. 척수손상의 분류
4. 임상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와 간호
7. 합병증과 관리
8. 간호진단 목록
9. 느낀점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 의
척수손상이란 척수에 가해진 외상으로 인해 정상적인 운동, 감각 및 자율신경기능에 이상이 생긴 상태를 말하며, 심신 양면으로 심각한 후유 장애를 초래하는 질환 중 하나이다.
2. 원인 및 빈도
1) 원인
ⓛ 외상성: 외상이 흔한 원인이며, 교통사고가 45%로 가장 많고, 추락사고가 41%이고 나머지는 폭행, 자상, 무거운 물체에 부딪치거나 운동이나 다이빙 사고 등으로 발생한다. 소아마비, 이분 척추, 종양과 같은 질병도 척수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발생 빈도: 미혼인 15~30세에서 가장 높고 그중 남성이 81%를 차지한다. 호발 부위는 경추이며, 여름에 발생률이 높다. 대상자들은 급성기 관리와 재활을 위해 3개월 이상 입원해야 한다.
② 비외상성 손상
- 일반적으로 질병이나, 병리학적인 영향으로 발생
- 혈관 기능 장애(동정맥 기형, AVM, 혈전증, 색전증 또는 출혈),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퇴행성 관절질환으로 인한 이차적은 척추아탈구, 매독이나 횡단성 척수염과 같은 감염, 척수 신생물, 척수 공동증, 축수 농양, 히스테리스성 마비 그리고 다발성 경화증과 근위축석 측색경화증과 같은 신경학적인 질환 등
3. 척수손상의 분류
척수손상을 당하게 되면 부위에 따라 감각, 운동 신경 외에 방광과 대장기능을 조절하는 자율신경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다양한 임상증상을 보이게 된다. 마비된 몸의 부분에 따른 분류로 사지마비 하지마비가 있고, 이외에 환자가 일상생활에서 스스로 기능적으로 어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알려주는 신경학적 기능수준에 따른 분류로는 감각 및 운동기능을 전부 혹은 부분적으로 상실한 것을 나타내는 완전, 불완전 척수손상이 있다.
1) 완전손상
- 손상레벨 이하의 감각 또는 운동기능이 상실
- 완전 횡단절단, 심각한 압박 혹은 척수에서의 확장된 혈관손상에 의해 발생
2) 불완전한 손상
- 손상레벨 이하의 감각 또는 운동기능 상실
- 탈구된 뼈나 연부조직 혹은 척수관내 부종으로 인해 척수가 압박될 때 나타나는 타박상(contusion)으로 초래(타박상에 의한 압박원이 제거될 때 일부 혹은 완전한 회복가능)
참고 자료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현문사, p576~590
신경림 외, 현문사, 성인간호학, p2350~2377
중환자전문간호교육과정협의회(2010), 신경계중환자 간호 개정판, 군자출판사, p57~60
송경애 외, 기본간호학2, 수문사(2011), p414~435
송경애 외, 기본간호학중재, 수문사(2011), p315~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