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검사 해석
1) 해석 방법
2) 해석 시 유의사항
3) TAT에 나타나는 진단별 반응 특징
본문내용
1. 개발과정 및 역사
TAT(Thematic Apperception Test, 주제통각검사)는 로르샤흐 검사와 함께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투사적 검사이다. 이 검사는 로르샤흐 검사와 마찬가지로, 모호한 대상을 지각하는 과정에는 개인 특유의 심리적인 과정이 포함되어 독특한 해석을 도출하게 된다는 이론적 입장에서 출발하고 있다.
TAT의 원조 격이라 할 수 있는 것은 1879년 F. Galton에 의해 행해진 연상 실험이다. 그는 자유 연상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주제는 그 개인의 초기 생활과 깊은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하면서, 연상을 통해 개인의 사고 내용의 기초를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그 뒤 1907년 H. L. Brittain이 ‘a Study in Imagination’에서 그림에 의한 상상력 연구의 중요성을 주장하면서 ‘상상(imagination)’, ‘공상(fantasy)’이라는 연구주제에 학자들의 관심과 주의를 불러일으켰다. 그는 13세에서 20세의 청소년 남녀에게 그림을 보여주고 이야기를 연상해 보도록 하였는데, 이들이 표현한 이야기의 내용에 뚜렷한 성차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1908년 W. Libby도 아동 및 청소년에 대한 연상 실험을 실시하여, 나이에 따라 연상의 내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에서 발표하였다. 1926년 L. P. Clark은 정신 분석 치료의 보조 수단으로 그림 연상을 활용하였다. 그는 전이 신경증으로의 발전이 어려운 자기애적(narcissistic) 환자에게 그림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연상을 해 보도록 함으로써 치료의 진전에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1931년과 1935년에는 L. A. Schwartz가 8장의 그림으로 구성된 ‘Social Situation Picture Test’를 개발하여, 오늘날의 주제 분석법에 의한 성격 연구를 시도하였고 이를 청소년 심리 치료의 보조 수단으로 활용한 바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