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간호사례 보고서
1) 일반적 정보(General Information)
2) 주호소(Chief Complaint)
3) 현병력(History of Present Illness)
4) 과거력(Past History) -Medical 및 Psychiatric
5) 가족력(Family History):
6) 사회력(Social History)
7) Mental Status Examination
8) 신체사정(Physical Examination)
9) 임상적 검사결과
10) 약물 치료
11) 의학적 진단
12) 간호과정
4. 실습일지
본문내용
12. 간호과정
주관적 자료
5/21
“ 애들 때문에 발음 하는 거 자꾸 까먹어서 집에 못 갈 까봐 불안해요. 집에 가고 싶어요. ”
“ 불안해서 못 누워있겠어요.”
객관적 자료
5/21
진단명 : Conversion disorder
Mood: Anxiety
신체적 증상 호소하며 간호사 스테이션을 왔다 갔다 반복함. 긴장되고 불안한 표정을 지으며 간호사 선생님이 면담하자고 하자 울 것 같은 표정으로 바닥을 쳐다보며 손을 만지작거림.
주로 혼자 침상에서 다리를 접어 팔로 끌어안아 멍하니 있는 모습 관찰 됨.
간호진단 : 불안으로 인한 사회적 고립
기대결과
장기목적: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불안감을 호소하지 않고 병동의 직원 및 동료와 상호작용 한다.
단기목적: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일대일 관계에서 간호사와 상호작용 한다.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불안이 감소 되었다고 말한다.
간호중재
간 호 계 획
1. 대상자의 불안의 정도를 사정한다.
2. 처방에 따라 정온제를 투여한다.
3.대상자에게 심호흡, 운동과 같은 이완요법을 가르친다.
4.대상자가 참여할 수 있는 병동 내 신체 활동 요법을 계획 및 실행하여 환자의 참여를 권유한다.
5.대상자와 신뢰관계를 맺는다.
이론적 근거
1. 불안은 막연하고 확실치 않은 위협에 대해 놀란 감정이며 인간상호 간에 전달될 수 있다.
2.심호흡과 같은 이완요법은 시상하부자극을 감소시키고 교감신경계 활동을 감소시킨다.
2. 항불안제인 Lorazepam은 Benzodiazepine계 약물로 GABA (중추 억제성 전달물질)의 작용을 증가시킴.
3.신체활동으로 긴장과 불안은 안전하고 대상자에게 이롭게 발산 할 수 있다
4.신뢰하는 사람이 옆에 있는 것은 안정감을 준다.
5.수용 할 수 없는 행동에 주의를 집중 하는 것은 오히려 그것을 강화 할 수 있다.
6.정직, 유용성, 수용은 간호사/대상자 관계에서 신뢰를 촉진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