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단체(적십자)의 DM을 통한 효과적인 후원자 모집방법에 대한 연구 및 제언
*전*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1. 서론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DM의 목적: 연구대상 및 방법론
2. 조사 및 분석 방법
1) 실험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DM을 통한 목적은 보다 많은 정기후원 유치이다. DM외에도 다른 광고 매체에는 신문, TV(VOD) 광고 등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다른 광고수단들을 제외하고 오로지 DM에 관해서만 다루었다. 그 이유는 국내(대한민국)에서는 비영리단체에서 DM을 바탕으로 한 실증자료에 대한 분석이 자세히 다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실제 시행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그 자료는 대한적십자사에서 실시된 우편물 마케팅을 통한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세부적으로는 DM에 포함되는 스토리 및 이미지에 따라 이에 따른 사람들의 기부참여에 대한 반응이 어떻게 다른지 또 어떤 내용이 효과적인 기부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에 관한 연구이다. 이 자료의 토대는 대한적십자사 인천광역시지사에서 2014년 10월부터 2015년 5월까지 시행한 DM자료를 토대로 하여 구성하였다. 여기서 DM이란 Direct mail의 줄임말로 적십자사 내에서 광고 인쇄물을 통해 보다 많은 후원자를 유치하기 위하여 기업체 및 세대주들을 대상으로 우편물을 발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천적십자사에서는 2014년 10월부터 2015년 5월까지 총 4번의 DM자료를 세대주 및 개인사업자에게 발송 하였으며, 각 DM을 발송할 때마다 그 대상자는 변하게 된다. 다만, 동일인 또는 동일 기업에는 보내지 않는다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평균적으로 DM 발송시 이에 대한 회신율(기부참여)은 대부분 0.2~0.5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DM을 발송하고 기부참여를 위해 기부자들이 다시 적십자사로 회신을 하는 방법은 팩스 또는 우편 등을 사용하고 있다. 타 광고매체들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DM에 집중하여 연구한 이유는 DM을 실시할 때 회신 정도가 타 광고수단들보다 현저히 높기 때문이다. 이때 DM 제작에 있어서 초점을 두고 제작하는 부분은 수혜자들이다. Hwang(2010)에 따르면 유명인(연예인)을 광고에 포함시켰을 때 사람들의 기부에 대한 참여정도가 그렇지 않을 때보다 높참고 자료
Deborah A. Smaill and Nicole M. Verrochi(2009), "The Face of Need : Facial Emotion Expression on Charity Advertisements."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46 Issue 6, p777-787Burton, K. Alex1, Gore Jonathan S.1, Sturgeon Jennifer1(2012),"The Role of Relational Self-constural in Reactions to Charity Advertisements."Self&Identity, Vol.11 Issue3, p343-359
Chun-Tuan Chang, Yu-kang Lee(2008),"All Charity Advertisements are not created Equal: Influences of Message Framing, Vividness Valence, and Numer Size Framing",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35, p652-653
Sampath Kumar Ranganathan and Walter H. Henley(2008), "Determinants of Charitable Donation Intention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Marketing, 13: 1-11
Sungwook Hwang(2010),"The effect of charitable giving by celebrities on the personal public relations",Public Relations Review 36, 313-315
Wendy Liu, Jennifer Aaker(2008),"The happiness of Giving: The Time-ask Effec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35 543-557
Robert W. Smith, Norbery Schwarz(2012),"When promoting a charity can hurt charitable giving: A metacognitive analysi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558-564
Rahul Deb, Robert S. Gazzale, Matthew J. Kotchen(2014),"Testing Motives for Charitable Giving: A revealed preference methodology with experimental evidence", Journal of Public Economics, 181-192
Heather Nunn(2004), "Emotional Death: the Charity Advery and Photograps of Childhood Trauma.", 271-291
Roger Bennett and Rehnuma Ali-Choudhury(2009), "Second-gift Behaviour of First-time Donors to Charity: An Empiric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Marketing, 161-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