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물무뇌증은 뇌의 발달기에 발생하는 선천성 뇌기형의 질환군을 의미하는 광범위한 용어로, 뇌 실질이 현저히 감소하여 비어있는 두 개강 내에 뇌척수액이 차있는 소견이 특징이다. 물무뇌증은 선천적 뇌기형들 중에서도 그 발생 빈도가 매우 낮으며, 초음파의 발달로 대부분 산전 진단에서 발견되므로 보고되는 예가 극히 드물다. 18세의 초산인 산모는 임신사실을 몰랐기 때문에 산전 진단을 한번도 받지 않았으며, 하루 7개피이상의 흡연과 간헐적인 음주력이 있었다. 복통을 호소하며 부모님과 함께 외래로 들어왔으며 재태연령 33주로 추정되는 환아는 출생4일에 시행한 CT에서 대뇌반구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뇌척수액이 차있는 물무뇌증을 확인하였다. 산전 진단을 받지 않은 청소년 미혼모에서 출생한 미숙아로 산모는 양육의지가 없으며 환아의 외할아버지는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양육의사는 있으나 어려운 상황임을 호소했다.
환아는 외할아버지와 함께 퇴원하였으나 외할아버지가 연락하는 것을 싫어하셔서 연락이 되지 않는 상태이고, 퇴원 후 장기적인 치료를 받아야함에도 불구하고 진료 예약일날 나타나지 않으셨다.
첫 case라 일반적인 대상자를 선택하려고 했지만 물무뇌증이라는 희소한 케이스를 만났고, 환아의 가족력이나 산모의 상황 또한 특수한 케이스라 또 이런 케이스를 만날 수 있을지 몰라서 물무뇌증 환아에 대한 케이스를 쓰게 되었다.
1. 문헌고찰
·정의
물무뇌증(무뇌수두증)이란 대뇌반구의 선천성 결손이 있고, 그 부분은 액체가 들어간 큰 공동으로 자리잡히고 있다. 원인은 중독한 자궁내감염을 들고 있으나 불명확하다. 출생시에는 정상으로 보이는 일이 있고, 정상인 신생아늬 반사도 때로는 존재하나, 수의운동을 볼 수 없고, 전신발달도 전혀 볼 수 없다. 두부전체에 투광성이 있을때에, 이 질환이 의심된다. 대부분의 사례가 1년 이내에 사망한다.
·질병에 대한 설명
Hydrocephalus(수두증)
1. 정의
뇌실 내 뇌척수액의 생산과 흡수의 불균형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이다. 흡수보다 생산이 많은 경우 뇌척수액이 뇌실에 축적되고 흔히 증가된 압력에서 뇌실의 수동적 팽창이 일어난다.
참고자료
· 김정혜, 박혜숙(2011), 병리학, 정담미디어 : p.34-p.35
· Marilyn J. Hockenberry, David Wilson(2013), 아동간호학(총론), 현문사 : p.319-p.421
· 김정남, 심은정(2011), 대한주산의학회잡지 제22권 제4호, 대한주산의악회
· 간호학대사전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