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음운과 음운 체계
"음운“에서 중요한 것 : 말소리 1음성(물리적)
2음운(추상적) -음소(분절음) -- 자음(장애음)
-- 모음(비장애음)
- 운소(초분절음)
【말소리가 나는 과정】
① 공기 움직이기(발동 과정): 허파 - 발동부
② 소리내기(발성 과정): 목청 - 발성부
★ 유성음(울림소리, +voice) - 성대의 진동에 의해서 나는 소리 예) ㄴ, ㄹ, ㅁ, ㅇ ↔ 무성음
③ 소리 다듬기(조음 과정): 조음부-고정부(윗입술, 윗니, 윗잇몸, 입천장 등)
- 능동부(아랫입술, 아랫니, 혀 등)
<중 략>
1) 음절의 끝소리 규칙(불파음화 현상)
종성에서 모든 자음이 ‘ㄱ, ㄴ, ㄷ, ㄹ, ㅁ, ㅂ, ᅌ‘ 중 하나로 소리 나는 현상
① 홑받침 소리: 파열음의 예사소리로 교체
-ㄲ, ㅋ → ㄱ(연구개 파열음 중 된·거센소리 → 예사소리)
예)낚시 → [낙씨], 부엌 안 → [부어간]
-ㅍ → ㅂ(양순 파열음 중 거센소리 → 예사소리)
예) 앞 → [압], 무릎앞 → [무르밥], 늪 안 → [느반]
② 겹받침 소리: 두 자음 중 하나가 탈락(같은 음성 환경)
예) ‘값[갑]’의 ‘ㅄ → ㅂ’: 겹받침 줄이기(자음군 단순화)
예사 파열음 되기(‘부엌 안[부어간]’의 ‘ㅋ → ㄱ’)와는 다름
※우리말의 음절 구조상 종성에는 하나의 자음만이 올 수 있기 때문
2) 음운의 동화: 한 소리의 소릿값이 그 놓이는 음성 환경과 같게 교체
앞뒤 소리의 조음 위치·방법과 비슷해짐
★ 동화 참여 요소 - 동화주: 동화를 야기하는 소리
- 피동화주: 동화되는 소리
★ 동화의 방향(순서) - 순행 동화: 동화주+피동화주
- 역행 동화: 피동화주+동화주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