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조현병(Schizophrenia) / 간호과정 / 문헌고찰 / A+자료 / 정신과 약물
- 최초 등록일
- 2016.04.28
- 최종 저작일
- 2015.05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치료적 환경 및 치료진 역할
1) 정신과 각 단위의 환경
2) 정신간호사 및 기타 치료진의 역할
3) 치료적 간호중재
2. 실습 Check-list
1) 정신과 병동 및 지역사회 대상자 관리체계 체크리스트
2) 질환별 증상 체크리스트
3) 약물 부작용 관리
3. 이상행동 관찰 기록지
4. 방어기전 관찰 기록지
5. 의사소통 분석
1) 의사소통분석지-첫째 주
2) 의사소통분석지-둘쩨 주
6. 간호과정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A. 일반적 사정
B. 정신과 관련사항
C. 영역별 사정
D. 가족 사정
E. Diagnoses
[3] Nursing Process
1) 가능한 간호진단 목록
2) 간호과정 적용
본문내용
Ⅰ. 서론
1. 문헌고찰
[1] 문헌고찰
◀ SPR (Schizoprania) 조현병 ▶
1. 정의
정신분열병이란 전체 인구의 약 1%가 앓고 있는 정신병으로서 주로 청년기에 발병하여 생산적인 활동이 가장 왕성한 시기를 무의미하게 만들어 버리는 만성적인 경과를 거치는 질환이다.뇌에 아무런 기질적 장애없이 사고, 정동, 지각, 행동 등 인격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특이한 변화를 남기며, 그에 따라 보여주는 증상도 다양한 뿐만 아니라, 그 원인, 결과, 치료에 대한 반응도 다양하여 하나의 증후군으로도 생각되고 있다. 정신분열병이란 병명이 정신의학계에 등장한 것은 금세기에 들어서이다. 프랑스의 B. A. Moral)은 1860년에 demence precore라는 이름으로, 어린 나이에 발병하여 빠른 속도로 바보처럼 되는 정신병을 기술하였고, 1818년 독일의 K. L. Kahlbaum은 흥분과 혼수상태가 나타날 수 있다는 긴장증을, 1870년 E. Hecker는 감정둔마와 의욕상실을 주로 보이는 파괴증을 기술하였다. 1896년 E. Kraepelin은 그가 쓴 교과서에 망상치매를 추가하여 이상의 세가지를 조발성 치매라고 불렀다. 이러한 기술은 청년기에 시작하여 결국 치매 상태로 끝나는 증상의 관찰을 중시한 것이다. 정신분열병에 대한 개념은 각 나라 또는 학파에 따라 다르며 미국의 정신의학협회는 정신분열병이란 정서적, 행동적, 지적 장애가 다각도로 혼합되어, 현실관계와 개념 형성에 기본적 장애를 나타내는 정신증적 반응군이라고 정의내리고 있다. 즉 정신분열병을 병이라기 보다 정신과적 반응으로 보았고, 이런 반응의 주요 문제는 현실 관계와 개념 형성의 장애이다. 예후에 있어서도 비교적 낙관적 표현을 하고 있다. 정신분열병은 15~24세 집단에서 가장 높고 50세 이후의 집단은 극소수이다.
참고 자료
정신건강 간호학, 양수외 공저, 2013, 현문사
드럭인포 http://www.druginfo.co.kr
핵심 임상간호 매뉴얼, 우현지 외, 2013, WR
정신간호실습 지침서, 김혜옥/임희수
간호진단과 중재, 이은옥 외, 2012,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