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의 2013-2015 부동산 정책: 무엇을 위한 정상화였나
*건*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2013년 '서민 주거안정을 위한 주택시장 정상화 종합대책'부터 2015년 ‘서민, 중산층 주거안정 강화 방안’까지 박근혜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부동산 매매시장과 전월세시장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보고서입니다. 그 당시의 뉴스기사를 최대한 많이 참조해 정책이 시행될 때 부동산 시장의 상황과 반응이 어떠했고, 어떻게 전세수요가 매매, 월세수요로 전환되었는지 또 전셋값이 폭등한 이유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평가에서는 부동산 정책이 결국 가계부채에 어떤 영향을 미쳤고 이가 한국의 경제 성장에 어떤 걸림돌이 될지에 대해서 평가했습니다. 미주와 레퍼런스가 잘 정리되어있으니 관련 보고서를 쓸 때 출처에 대해 따로 걱정하실 필요도 없습니다.목차
1. 서론2. 본론
2.1 부동산 시장 정상화의 시작(‘13.03~’13.07)
2.2 전셋값 폭등을 매매수요 확보의 기회로(‘13.08~’14.01)
2.3 부동산 정책을 연료로 하는 브레이크 없는 열차(‘14.02~’15.12)
3. 결론
3.1 결과 및 평가
3.2 앞으로의 정책 방향?
본문내용
1. 서론부동산 관련 산업은 우리 경제에서 큰 몫을 차지한다. 부동산과 연관된 주택건설업, 금융, 보험, 가구, 중개업, 인테리어, 이사 등등을 합하면 아무리 적어도 GDP의 20%는 넘어설 것이다. 이러한 부동산 시장에서 정부의 역할은 지대하다. 정부는 새 아파트의 평당 분양 가격 상한을 정할 뿐만 아니라, 주택담보대출 규제의 수준을 조절하며 심지어는 직접 수요공급을 관리하기도 한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가계자산의 80%가 부동산에 묶여있는 경제구조의 경우 부동산 정책은 더더욱 중요해진다.
때문에 역대 정부들은 하나의 커다란 기조를 가지고 부동산 시장에 관여해왔다. 노무현 정부의 경우 부동산 시장의 안정화를 목표로 집값폭등을 막기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펼쳤다. 이명박 정부의 경우 경기불황을 극복하기 위해 시장 활성화를 목표로 규제완화 중심의 정책들을 펼쳤다. 박근혜 정부의 부동산 정책 기조는 부동산 시장 정상화다. 박근혜 정부는 거래가 침체되고 주택가격이 하락세를 띄는 부동산 시장을 비정상이라고 봤다. 그렇다면 박근혜 정부는 어떤 상황을 정상이라고 보고, 무엇을 위해 정상화 정책을 펼쳤을까? 본론에서는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당시의 부동산 시장 상황이 어떠했고, 부동산 정책에 의해 부동산 국면이 어떻게 바뀌어나갔는지를 면밀히 살펴보려 한다.
2. 본론
2.1 부동산 시장 정상화의 시작(‘13.03~’13.07)
부동산 시장 정상화를 통해 박근혜 정부가 노렸던 것은 내수 진작이었다. 신년 기자회견에서 박근혜 대통령은 "소비심리를 살려내고 내수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부동산 시장이 회복되어야 한다"라고 발언했다. 부동산 시장 회복이 내수 진작으로 이어진다는 논리는 자산 효과(Wealth Effect)로 지지된다. 자산 효과란 개인들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부동산과 같은 자산가격 상승이 국내 소비 증가에 영향을 주는 현상을 말한다. 쉽게 말해 집값이 올라야 경제가 살아난다는 이야기다.
참고 자료
한국은행한국감정원, 전국주택전세가격동향
한국감정원, 전국주택매매가격동향
통계청, 2015년 4/4분기 및 연간 가계동향
윤채현, 지금 당장 돈의 흐름 공부하라, 한빛비즈, 2009
김수현, 부동산은 끝났다, 도서출판 오월의봄, 2011
부의 효과, 네이버 시사상식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20691&cid=50305&categoryId=50305)
깡통주택, 네이버 시사상식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11293&cid=43667&categoryId=43667)
하우스푸어, 네이버 시사상식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64829&cid=40942&categoryId=31819)
지규현, 부동산 경기 침체가 길어지고 있지만..., 한양사이버대학교 교수칼럼, 13.7.10 (http://www.hycu.ac.kr/Campusinfo/webzine_01_view.asp?pkid=5010#popbtn_open)
박상용, '반짝효과'로 끝난 4.1 부동산 대책...후속조치로 주택공급 줄인다, 노컷뉴스, 13.7.24 (http://www.nocutnews.co.kr/news/1073368)
신익환, 4.1대책 후속조치..시장에 통할까, 뉴스토마토, 13.7.24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385195)
장세희, 한국은행 기준금리, 최근 3년 추세 봤더니…, 한국경제, 15.6.11 (http://hei.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06115014g)
김민호, 집값 따라잡는 전셋값… 역전시대 오나, 한국일보, 13.8.19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38&aid=0002410257)
이상도, 부동산 거래절벽 심각, BC뉴스, 13.8.2 (http://www.pbc.co.kr/CMS/news/view_body.php?cid=467059&path=201308)
박세열, 박근혜 대통령 기자회견 일문일답, 프레시안, 16.1.13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32509)
우제윤, 전국 아파트값 16주 연속 상승, 매일경제, 13.12.19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1312694)
이상혁, 행복주택 20만→14만가구로 축소… 내년 정책 모기지 11조 지원, 이투데이, 13.12.3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831424)
고재만, 백상경, "전세 품절"… 이젠 월세시대, 매일경제, 14.2.9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209705)
한상준, 건설사들 주택시장 체감경기 3개월만에 하락세 전환, 건설경제, 14.4.16 (http://www.cnews.co.kr/uhtml/read.jsp?idxno=201404161228497270486)
김수영, LTV·DTI 부동산 금융규제 대폭 완화, 노컷뉴스, 14.7.24 (http://www.nocutnews.co.kr/news/4063595)
이상택, 최성욱, 최경환, "LTV·DTI 완화 실수요 거래 이끌어 낼 것", 뉴시스, 14.7.28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40728_0013074572&cID=10401&pID=10400)
조성신, 수도권 공공택지, 전매제한·거주의무기간 완화, 매일경제, 14.12.16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1531172)
최승진, 불안한 미래가 낳은 소비 위축… 가계 소비성향 역대 최저, 매일경제, 16.2.26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6&no=153246)
이상덕, 나현준, 가계부채 1200조 돌파…작년 121조7천억 늘어 1207조 사상최대, 매일경제, 16.2.25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6&no=147676)
김남현, 가계부채 비중 GDP대비 77.4%·가처분소득대비 144.2% ‘사상최대’, 이투데이, 16.3.26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308492)
최종윤, 주택담보대출 여신심사 선진화 가이드라인?, M이코노미뉴스, 16.1.16 (http://www.m-economynews.com/news/article.html?no=14973)
윤도진, 작년 주택공급 '인허가 76.5만가구·분양 52.5만가구', 비즈니스워치, 16.1.24 (http://www.bizwatch.co.kr/pages/view.php?uid=20693)
김유경, 대출규제-금리 인상-공급 과잉 ‘삼면초가’, 중앙시사매거진, 16.1.4 (http://jmagazine.joins.com/economist/view/309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