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간호력 health history
2. 신체검진 기록지 Physical Examination
3. 총괄적 소견과 간호 진단
4. 질병 연구 Disease study
5. 진단적 검사 Diagnostic Test
6. 약물 연구 Medicine study
본문내용
#1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한 상처회복 지연과 관련된 수술 후 회복지연
▶S-data
“ 수술 한지 3개월이 되도 아직도 안 아문다니까 그래서 4월 달쯤에는 다시 풀고 긁어냈다니까 “
“ 저번에도 발가락에 생긴 상처가 7개월을 사람을 고생시켰다니까 ”
“ 내가 혈액순환이 잘 안되서 약도 먹고 그러지...손도 차갑고 학생 손은 따뜻하네”
▶O-data
- 현재 혈류장애 개선제 (berasil, ticlodon) 복용 중
- 과거력에 엄지 발가락상처 회복이 지연되어 본원 정형외과에 내원 기록
- 2008년 3월 23일 왼쪽 다리 무릎 아래 OP(절단)
<중 략>
만성 신부전증이란 여러 가지 신장 질환, 예를 들면 만성 사구체 신염, 당뇨병성 신증, 고혈압성 신경화증 등과 같은 질환으로 인하여 신장이 정상적으로 가지고 있는 배설, 조절, 대사 및 내분비적 기능이 전체적으로 저하되거나 이상이 초래된 상태를 말한다. 원인이 되는 신장 질환의 종류에 관계없이 만성적으로 신기능 장애가 진행되어 사구체 여과율이 50% 이하로 감소하면, 대부분의 경우 계속적으로 사구체 여과율이 감소하게 되며, 궁극적으로 말기 신부전증(ESRD)에 도달하게 된다.
2. 병인 및 역학
1) 조절되지 않은 만성적인 전신 질환
DM, Hypertension,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전신성 홍반성 낭창)
2) 신세포 독소(Nephrotoxins)
3) 재발되는 신우신염, 만성 신질환
<중 략>
①식이요법은 신부전 진행의 경감이나 요독증상, 합병증의 경감 등의 목적으로 중요한 부분이며, 신부전의 시기(잔여신장기능의 정도)에 따라 다르다.
②신장 기능에 땨른 식이
*신장기능이 정상의 70% 이상 있을 때
→단백질, 칼로리 섭취를 거의 정상인과 같이 해도 무방함.
*신장의 잔여기능이 70-25% 있을 때
→경우에 따라 증감해야겠지만 단백질 섭취량을 1일 체중 1 Kg당 0.6-0.7 g 정도 섭취하고 이중 약 1/2은 필수아미노산이 많이 포함된(생물학적 가치가 높은) 계란, 고기, 생선, 우유제품으로 섭취하고, 나머지는 식물성 단백질(곡류와 야채에 포함)로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