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라토리엄,채무지불유예,디폴트,채무불이행, 국가파산
- 최초 등록일
- 2016.04.07
- 최종 저작일
- 2016.04
- 16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1,000원850원
목차
1. 인트로
2. 정의
3. 사례분석
4. 투자판단
5. 질의응답
본문내용
[모라토리엄]
; 채무지불유예
경제 주체(국가, 지방정부, 기업 등)가 경제·정치적사유로 채무의 지불을 일시적으로 연기
[디폴트]
; 채무불이행, 국가파산
경제 주체가 채무를 변제할 능력을 상실하여 갚을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 선언
<중 략>
러시아
[원인]
시장경제체제 편입하며 IMF권고로 반인플레이션 정책 실시
지나친 단기국채발행은 러시아 외환방어에 매우 무리한 정책
아시아 금융위기 파급효과
[결과]
자국 화폐 (루블화) 가치 예상치보다 평가 절하
각종 신용평가기관에서 신용등급 하향 조정하며 디폴트로 비화
IMF협상했던 부총리 해임과 대통령 탄핵 논의, 시위, 폭동 등 정정불안
[그후]
고유가 시대 편승한 푸틴의 에너지 무기 정책 등으로 금융안정
금융위기로 국제 유가 및 자원 가격 변동에 취약한 문제점 다시 드러남
해결 위해 산업 다변화 및 과학 기술력 제고의 경제 현대화 정책 추진 중
참고 자료
강선구, 러시아 모라토리엄 사태의 전개방향과 대응방안, LG경제연구원
공병호외1인,모라토리엄이야기,자유기업센터
김홍재,EU, 은행연합 단일은행정리체제 합의,파이낸셜뉴스
네이버 지식 백과
두산백과
미래에셋증권
박영서, 중국인 이번에는 두바이로 몰려…년새 부동산투자 3배 증가,헤럴드경제
불름버그
엄근용, 두바이 모라토리엄 선언의 영향과 시사점,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조원호, 러시아 모라토리움 선언과 IMF경제정책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국별 모라토리엄 배경과 채무재조정
한상춘, 그리스 4년만 국채 발행 성공‥ 유럽 재정위기 끝나나, 한국경제신문,2014.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