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이온 1족과 6족의 정성분석
- 최초 등록일
- 2016.04.01
- 최종 저작일
- 2014.03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실험 날짜
2. 실험 제목
3. 실험 이론
4. 기구 및 시약
5. 실험 방법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 날짜 : 2014/03/12
2. 실험 제목 : 양이온 1족과 6족의 정성분석
3. 실험 이론 :
⚫정성 분석이란?
시료 속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성분의 종류를 알기 위한 화학 분석. 미지의 물질을 분석할 때 맨 처음에 하는 조작 인데, 그 조작을 검출·확인·정성(定性) 혹은 동정(同定)이라고 한다.
정성은 물질 속에 함유되어 있는 특정물질종(원자종·원자단·분자종·이온종·기·동위원소종 등)에 고유한 특성이나 그 변화를 이용한다.
가장 소박한 방법은 시각·후각 등 인간의 감각을 이용한 것인데, 이에 의거해 가열·용해 등의 수단을 가해 시료속의 성분의 변화를 관찰한다.
가열변화를 관찰하는 방법에서 무기화합물을 대상으로 하는 것을 건식법(乾式法)이라 하고, 주로 수용액의 화학변화를 이용하는 방법은 습식법(濕式法) 이라고 한다.
정성분석 다음에 이루어지는 것이 정량(定量)분석 이다. [1]
⚫정량분석
정량분석법에는 크게 4가지의 농도 계산방법이 있다. 면적 표준화법(Area Normalization), 감응인자 보정 표준화법(Normalization with response factors), 외부표준물질법(External Standard method), 내부표준물질법(Internal Standard method)이 그 방법이며, 나열된 순서대로 정확도가 증가한다. 이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외부표준물질법과 내부표준물질법이다.
외부표준물질법
절대검정법이라고도 불리는 외부표준물질법에는 선택적으로 특정 성분만의 검량선을 작성하여 계산하므로 방해되는 성분들은 정량계산에서 배제된다. 분석 대상이 되는 두 성분의 표준품으로 시료내 농도와 거의 유사한 농도를 갖는 혼합 표준용액을 제조한다. 조제한 기지농도(알고 있는 농도)의 표준용액을 정확히 일정량을 취하여 시료분석과 동일한 조건에서 분석하여 크로마토그램과 각 피크의 적분 결과를 얻는다. 외부표준물질법은 모든 성분이 모두 용리되지 않아도 되며 방해되는 성분들과 검출기에 의해 감응되지 않는 성분들은 모두 무시되므로 계산과정이 매우 간단하지만 시료 주입용량이 정확하지 않으면 절대감응인자 및 농도 값 계산이 부정확해진다.
참고 자료
http://www.scienceall.com/dictionary/dictionary.sca?todo=scienceTermsView&classid=&articleid=254641&bbsid=619&popissue
http://blog.naver.com/istek?Redirect=Log&logNo=110059069503
http://yang623.blog.me/140197618021
http://www.happycampus.com/doc/1075671/?agent_type=naver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5848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0855
http://ko.wikipedia.org/wiki/%EC%95%94%EB%AA%A8%EB%8B%88%EC%95%84%EC%88%98
http://ko.wikipedia.org/wiki/%EC%A7%88%EC%82%B0
[9]http://ko.wikipedia.org/wiki/%EC%88%98%EC%82%B0%ED%99%94%EB%82%98%ED%8A%B8%EB%A5%A8
[10]http://ko.wikipedia.org/wiki/%ED%95%98%EC%9D%B4%ED%8F%AC%EC%95%84%EC%97%BC%EC%86%8C%EC%82%B0
[11]http://ko.wikipedia.org/wiki/%EC%9B%90%EC%8B%AC%EB%B6%84%EB%A6%AC%EA%B8%B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