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체장애 및 건강장애
- 최초 등록일
- 2016.03.16
- 최종 저작일
- 2015.10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목차
1. 지체장애
1)정의 및 원인
2)분류 및 특성
3)진단 평가
4)교육적 지원
2. 건강장애
1)정의 및 원인
2)분류 및 특성
3)진단 및 판별
4)교육적 지원
본문내용
(1) 신경성 증후군
① 뇌성마비(cerebral palsy)
-수태에서부터 생후 1개월 까지의 신생아기에 뇌 손상으로 비진행성 병변이 발생
-지체의 수의 운동장애, 운동기능 마비, 자세 이상 등의 신경성 운동기능 장애를 초래
-운동기능장애는 일시적이 아니고 영속적, 출생 후 만2세까지 증후가 나타날 수 있다.
-생리적 부위별 분류 : 경직형, 불수의 운동형, 운동실조형, 강직형, 진전형
-부위별 분류 : 단마비, 대마비, 편마비, 삼지마비, 양마비, 사지마비
② 진행성 근 위축증
-진행성의 근위축을 보이며 근육조직검사에서 근육의 괴사 및 재생과정을 보이고 근섬유 의 크기가 고르지 않으며 근섬유가 괴사된 자리에 지방 및 섬유화 조직으로 대치되는 모 든 근질환
-주로 유전적 원인에 의해 발병하며 일반적으로 근육의 역화가 진행되어 일어서기 어렵고 걷거나 뛰기 힘들어 한다.
-근위축 증후의 진행과정은 보행시기, 휠체어 시기, 침상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근위축 증후의 종류:듀센형, 베커형, 안면견갑상완형, 지대형, 위축성 근 경직형으로 구분
㉮ 듀센형과 베커형 근 위축증은 가장 대표적이고 흔하며 X염색체와 연관있는 근 위축증
- 듀센형은 초기 운동발달이 느려 18개월까지 독립보행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 종아리 근 육이 가성비대를 보이며 하지에서 근위축이 시작되어 10세경에는 휠체어에 의존
- 가우어 사인(Gower's sign): 남아에게 나타나고 요추 천만, 척추 및 하지 전근의 쇠약으로 일어설 때 하퇴, 대퇴 순으로 손을 짚고 힘들게 일어서는 특이한 기립동작
- 베커형의 경우 6세에서 19세에 주로 나타나며 하지의 근력 약화 뿐 아니라 종아리 근육 의 통증, 경련 등이 일어나고 듀센형에 비해 느리고 다양하게 나타난다.
㉯ 안면견갑상완형은 안면근, 견갑근, 상완과 허리, 엉덩이 근육 등이 약화되기 시작하며 어 깨뼈가 날개같이 튀어나오는 익상견갑이 특징이다.
㉰ 지대형은 소아기부터 50세 이후까지 다양하게 나타나며 초기에 견괄절부와 고관절부의 근육약화가 시작된다.
어깨, 허벅지 주위 근육이 약회되어 팔을 얼굴 높이로 들기가 힘듬.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