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리 채플린이 주연한 영화『모던 타임즈』를 보고 쓴 감상문입니다.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내면을 고민하고 쓴 감상문입니다.
자본과 기계에 의한 억압과 착취에 대한 거부, 희망을 향해 나가는 인간의 용기, 인간답게 살고자 하는 자유의지
등을 찰리 채플린, 그는 말하고자 했다 봅니다.
많은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찰리 채플린이 주연한 영화『모던 타임즈』를 보고 쓴 감상문입니다.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내면을 고민하고 쓴 감상문입니다.
자본과 기계에 의한 억압과 착취에 대한 거부, 희망을 향해 나가는 인간의 용기, 인간답게 살고자 하는 자유의지
등을 찰리 채플린, 그는 말하고자 했다 봅니다.
많은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1. 찰리 채플린, 현대 우리들의 모습을 그리다
2. 시계문자판의 상징
3. 분업
4. 빈곤과 범죄
5. 소외
6. 인간다운 삶의 희망
본문내용
1. 찰리 채플린, 현대 우리들의 모습을 그리다
찰리 채플린(Charlie Chaplin). 우리는 그의 영화를 보지 않아도 그를 알 수 있다. 헐렁한 바지에 꽉 끼는 상의, 조그만 모자에 커다란 구두 차림에 짧은 콧수염, 짧은 대나무 지팡이를 흔들어대며 짓는 우스꽝스런 걸음걸이와 표정. 그의 모습만 보고서도 그를 알아차릴 수 있다. 그의 영화를 보지 않은 사람들은 그를 그냥 팬터마임으로 사람들을 웃기는 `코믹 배우’로만 생각할지 모른다. 하지만 그의 영화를 보면 시대에 대한 그의 통찰력과 앞서 나가는 시대정신에 놀라움을 금치 못할 것이다.
그의 대표적인 영화『모던 타임즈』역시 마찬가지다. 1936년 발표된 영화이지만 그의 작품은 여전히 세련되고, 여전히 유효하다.『모던 타임즈』, 해석하면 현대의 시간. 제목만큼이나 이 영화는 우리가 발 딛고 있는 현재를 뼈아프게 돌아보게 한다. 그리고 우리가 만들어가야 할 미래를 생각해보게 한다.
찰리는 노동자다. 우리의 찰리는 하루하루를 열심히 노력하며 바쁘게 살아간다. 그는 무지하게 바쁘게 왔다갔다 움직이며 나사를 조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가진 것이라고는 아무 것도 없다. 그는 “노동력 이외에는 팔 것이 없고, 또한 노동력을 팔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는” 떠돌이 노동자다. 그는 떠돌이라는 점에서 자유로우며 동시에 아무 것도 가진 것이 없어서 자유롭다. 또한 “아무 것도 가진 것이 없는 자유로움”은 언제나 먹고 살기 위해 그의 노동을 팔아야만 하는 공장행의 운명을 피할 수 없다.
이것이 『모던 타임즈』의 찰리의 모습이며, 18세기 중엽 산업혁명이 일어난 이래로 근대 산업사회가 만들어낸 우리 노동자들의 변하지 않은 자화상이다.
2. 시계문자판의 상징
영화『모던 타임즈』에서 시계의 이미지를 발견하는 일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영화는 시계 이미지를 상기시키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타이틀백의 시계 문자판이 상징하듯, 시간은 우리의 일상을 규정하며 우리의 노동량을 측정하는 기준이다. 시간은 우리를 지배하며 또한 시간은 돈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