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심증(stable Angina/안정형 협심증) A+ 케이스스터디(간호진단 2개 포함)
- 최초 등록일
- 2016.03.05
- 최종 저작일
- 2015.07
- 2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 협심증 문헌고찰
Ⅲ. 연구기간 및 방법
Ⅳ.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1) 현병력
(2) 과거력
(3) 가족력
3) 간호력
4) 신체검진
5) 진단검사
6) 치료 및 경과
2. 간호과정
1) 심근허혈과 관련된 통증
2)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출혈 위험성
Ⅴ. 결론
1.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심장질환은 2014년 통계청에서 발표한 한국인 사망 원인 중 2위를 차지하면서 심장질환에 의한 사망자 수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심장질환을 예방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해야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특히 주요 심장질환 중 하나인 협심증은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심장이라는 기관에 문제가 생긴 것이기 때문에 질환의 예방 및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허혈성 심질환의 전초병인 협심증은 생명 유지에 매우 치명적인 질환인 심근경색과 심부전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협심증에 대한 병태생리 및 원인, 증상, 합병증에 대한 치료 및 간호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질환을 예방하고 대상자에게 양질의 치료와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Ⅱ. 문헌고찰
1. 심장 구조와 기능
- 심장의 정의: 혈액을 순화시키는 원동력이 되는 순환계의 중추기관으로 주기적인 수축과 이완을 되풀이함으로써 혈액을 온 몸에 공급하는 펌프역할을 한다.
- 심장의 위치: 왼쪽 제 3~6 늑골 사이의 종격동에 위치하며 신체의 중심선에서 좌측으로 치우쳐 있다.
- 심장의 크기 및 무게: 심장의 크기는 약 12cm정도로 무게는 약 300g 정도이다.
- 심장의 구조: 심장은 4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위쪽 2개를 심방(좌심방, 우심방)이라하고 아래쪽 2개를 심실(좌심실, 우심실)이라 한다. 심방은 정맥을 통해 혈액을 받아들이는 장소이고, 심실은 동맥과 연결되어 심장 밖으로 혈액을 내보내는 곳이다.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는 이첨판,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는 삼천판, 심실과 동맥 사이에는 반원판이 있어 판막이 혈액이 역류하는 것을 막아준다.
① 심내막(ednocadium): 심장의 가장 안쪽을 싸는 막이다.
② 심근(myocardium): 심내막과 심외막 사이에 위치하며 평활근, 불수의근으로 자율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③ 심외막(epicardium, 장측심낭): 심장의 바깥쪽을 싸는 막이다.
참고 자료
전국대학병원. (2005). 임상간호의 핵심II. 서울: 한우리
Patrick Davey. (2010). 한눈에 알 수 있는 ECG. 서울: 이퍼블릭
김근순, 김영숙, 최경옥. (2012). 성인간호학I. 서울: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2011).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최은진, 신민호, 강원유. (2012). 안정형 협심증 환자에서 c-반응성 단백질 (CRP)농도의
증가. 대한내과학회지, 82(1):4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