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교과서를 둘러싼 논란이 한창이다. 역사를 어떻게 기록하고 가르치는가는 매우 민감한 사안이다. 국가의 정체성은 역사 기술을 통해 드러나기 때문이다. 역사 교과서를 둘러싼 분란은 교육과정 개편 때마다 반복되다시피 했다. 2008년, 이명박 정권 초기에는 금성출판사의 한국근현대사 교과서가 도마에 올랐다. 당시 교육과학기술부(현 교육부)는 역사기술이 좌편향되었다는 이유로 금성출판사를 비롯한 6종의 교과서에 수정 명령을 내렸다. 불과 5년 만에 논란은 또다시 불거졌다. 이번에는 교학사 교과서가 문제가 되었다. 지나치게 우편향했고 기초적 사실관계의 오류가 많았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대한 각계에 비판이 이어졌고, 교육부는 교학사 교과서에 대해 수정·보완을 권고했다. 논쟁의 핵심은 교육부가 교학사뿐 아니라, 한국사 교과서 8종 모두에 대해 수정·보완을 지시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한 한겨레와 중앙의 평가는 완전히 상반된다.
단계 2 문제 접근의 시각차
한겨레는 교육부의 조치가 ‘물타기’라며 강하게 반발한다. 문제의 발단은 “친일파의 행위와 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의 독재를 노골적으로 미화하는” 교학사 교과서의 서술 방식이었다. 이는 “역사 교과서로서 허용될 수 있는 자율성을 벗어난 것”으로 검정 취소를 해버리면 된다. 그럼에도 교육부가 “서술상의 불균형과 국가 정체성을 왜곡할 수 있는 내용을 함께 분석했다”고 하면서, 역사 교과서 8종 모두를 검토한 것은 “부실·역사 왜곡 교과서 문제를 좌우 이념 논란으로 치환”하려 하는 시도로밖에 볼 수 없다고 한다. 반면 중앙은 교육부의 조치에 동의한다. 교과서는 “우리 역사를 바라보는 균형 잡힌 시각을 담아야” 하며, “대한민국의 산업화와 민주화 성과를 깎아내리는 한편 북한 주민의 인권 실태, 3대 세습은 한 줄도 다루지 않은 교과서는 역사 기술의 균형성 상실이라는 측면에서 각각 수정·보완되는 게 마땅하다”고 강조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