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골절 : 골절은 움직임과 감각에 영향을 주는 뼈의 연속성이 붕괴된 상태를 말한다. 골절은 모든 연령층에서 신체의 어떤 부위에서든 발생할 수 있다.
2) 골절의 종류
외관에 따라 폐쇄형, 개방형이 있고, 골절상태에 따라 분쇄골절, 분절골절이 있으며, 골절면에 따라 종골절, 횡골절, 사골절, 나선골절이 있으며, 영유아의 경우 뼈에 금이 가거나 끊어지지 않고 찌그러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 또한 골절로 치며, 이를 유아 골절이라 한다.
(1) 폐쇄골절(閉鎖骨折, closed fracture / simple fracture)
가장 일반적으로 보거나 접하게 되는 골절이다.
(2) 개방골절(開放骨折, open fracture / compound fracture)
골절이 발생하여 뼈가 제 위치에서 벗어나 피부를 찢고 나온 경우를 말한다.
(3) 분쇄골절(粉碎骨折, comminuted fracture)
골절이 발생하고, 발생부위에서 뼈가 여러 작은 조각으로 나뉜 골절을 말한다. 산산조각
<중 략>
① 의존성 : 계속 복용으로 약물의존성이 생길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신중히 투여한다. 계속 복용 중 투여량을 급격히 감소시키거나 투여를 중지했을 때 하품, 재채기, 눈물흘림, 땀흘림, 구역, 구토, 설사, 복통, 동공 확대, 두통, 불면, 불안, 헛소리, 경련, 떨림, 전신의 근육과 관절의 통증, 호흡촉박, 심계항진 등의 금단증상이 나타나면 1일 투여량을 서서히 감량하면서 환자의 상태를 신중히 관찰한다.
② 호흡억제 : 호흡곤란, 느린호흡, 불규칙호흡, 무호흡 등의 호흡억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증상이 나타나면 마약길항제(날록손 등) 투여, 호흡보조 등의 적절한 처치를 한다.
<중 략>
1.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수술 후 3일간 체온을 6시간 간격으로 f/u
2. 검사결과를 확인한다.
- 일반 혈액 검사를 모니터하고 백혈구 수치, CRP수치를 F/u 한다.
3. 수술부위의 상태를 관찰한다.
- 드레싱부위가 더러워지지는 않았는지, oozing과 같은 징후를 관찰한다.
4. 배액튜브, 배액양상을 관찰하고 배액관의 개방상태를 확인한다.
- 배액튜브가 물에 잘 잠겨있는지, 기구가 대상자 가슴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지, 모든 연결관이 정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https://namu.wiki/w/%EA%B3%A8%EC%A0%88
· http://www.docdocdoc.co.kr/news/newsview.php?newscd=2012071300035
· http://blog.naver.com/honginsuranc/220600087328
· 1178, 성인간호학 7판, 박정숙 외 역, Copyright 2013 by Elsevier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