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960년대 사회적 배경
2. 1960년대 패션
3. 히피룩
4. 모즈룩
5. 비틀즈룩
6. 스페이스룩
7. 60년대의 패션아이콘 ‘트위기’
8. 이브생로랑의 역사
9. 이브생로랑의 관련인물
10. 이브생로랑의 의상들
11. 이브생로랑 디자이너
12. 예술과 이브생로랑
본문내용
1960년대 사회적 배경
사회적 배경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베이비 붐 세대가 청소년층으로 성장하여 전체 인구의 높은 비율을 차지 청년 문화가 사회 전체 분위기를 주도한 시기
- 대중문화의 확산과 기성복 산업의 확대로 오트 쿠튀르 외에 프레타 포르테, 부티크와 기성복 라인을 활성화
- 우주시대의 도래로 스타트렉과같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미래상품의 인기를 올리는 데 큰 관여
1960년대 패션
자유를 향한 <히피룩>
미래를 동경한 공학적 패션 <스페이스룩>
미니스커트, 미니드레스<모즈룩>
비틀즈룩
히피룩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며 평화를 원했던 히피집단은 그들의 이념과 사상을 외모로 표현하였다. 자유와 반전의 상징인 꽃은 직물의 프린트나 액세서리로 많이 사용
참고자료
· 강민지, 패션의 탄생, 루비박스 ,2011, 196~213
· http://www.purepeople.com/article/fabrice-thomas-confidences-sur-son-passe-houleux-d-amant-d-yves-saint-laurent_a125150/1
· http://blog.naver.com/ahj0610?Redirect=Log&logNo=20196323876
· http://www.elle.co.kr/ellegirl/article/View.asp?MenuCode=en010103&intSno=7081
· http://blog.naver.com/applebeee/50129949581
· http://yslbeauty.com/ko-KR/article/love-declaration-to-feminity
· http://www.menstylefashion.com/yves-saint-laurent-incorporate-style/
· http://blackcatme0.blogspot.kr/
· David Hilowitz at en.wikipedia.org
· http://blog.naver.com/gksllove22?Redirect=Log&logNo=220149755243
· 도서 패션의 탄생 만화로 보는 패션디자이너 히스토리
· 이브 생 로랑(Yves Saint Laurent) part5|작성자 뤼느아르
· David Hilowitz at en.wikipedia.org
· 영화 이브생로랑의 라무르
· [네이버 지식백과] 이브 생 로랑 (패션과 명품, 2004.12.30, ㈜살림출판사)
·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09111519062581690
· http://athome.kimvallee.com/2009/01/seeing-andy-warhol-live-and-yves-saint-laurent-on-valentinersquos-day/
· http://blog.naver.com/lrzusvhnys/60203180101
· http://styleitem-textcube.blogspot.kr/2009/09/%EC%9D%B4%EB%B8%8C-%EC%83%9D-%EB%A1%9C%EB%9E%91-yves-saint-laurent-3%EB%8C%80-%EC%B2%9C%EC%9E%AC-%EB%94%94%EC%9E%90%EC%9D%B4%EB%84%88.html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