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험에 대한 소개
가. 실험 목적
나. 실험에 사용될 이론 및 지식
다. 사전보고서의 작성
2. 실험 장비 및 재료와 실험 방법
가. 실험 방법
나. 실험 재료 장비
다. 주의점
3. 실험 결과
4. 토론
가. 실험 결과와 예상 결과 비교
나. 실험 내용 관련 주의점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실험에 대한 소개
가. 실험 목적
마디 해석법 및 메쉬 해석법과 중첩의 원리를 사용하여 이론적인 회로를 분석하고 그 실험 결과를 Pspice로 분석한다. 직접적인 breadboard를 통한 회로 구현 및 실제값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이론값과 비교한다.
나. 실험에 사용될 이론 및 지식
먼저 노드해석법과 메쉬해석법에 쓰일 KCL, KVL에 대해 알아보자
1) 키르히호프의 법칙
- 1. 제1법칙 (KCL)
회로 내의 어떤 점을 취해도 그곳에서 흘러 들어오거나(+) 흘러 나가는(-) 전류를 음양의 부호를 붙여서 구별하게 되면 전류의 총계는 0이 된다.
즉, 전류가 흐르는 길에서 들어오는 전류와 나가는 전류의 합은 같다.
이는 전하가 접함접에서 저절로 생기거나 없어지지 않는다는 전하보존법칙에 근거를 둔다
- 2. 제2법칙 (KVL)
임의의 닫힌회로에서 회로 내의 모든 전위차의 합이 0이다.
즉, 임의의 폐회로를 따라 한바퀴 돌 때 그 회로의 기전력의 총합은 각 저항에 의한 전압 강하의 총합과 같다
2) 마디 해석법(Nodal Analysis)
마디 해석에서는 각 노드들을 회로 변수로 취한다. 하나의 노드를 기준노드로 취하고 다른 노드들은 모두 이 기준노드에 대해 정의된다. 보통으로는 접지(ground)라고 불리는 노드를 기준노드로 정한다. Groud는 전압이 0인 노드라고 생각하면 된다.
각각의 변수들은 기준노드에 대해서 양인 전압을 선택한다.
앞서 말한 내용을 위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음 회로에서 각각의 번호들은 노드를 의미하며 5번의 경우는 접지상태 즉, 기준노드인 그라운드이다.
위의 회로를 통해서 마디 해석법을 좀 더 알아보도록 하자.
각각의 노드(마디)를 이용함에 따라 예로서 한 가지 식 마디해석법으로 나타내어보면 V3=Va-Vb 로 나타낼 수 있다. 위의 식은 저항에 걸리는 전압의 부호에 따라서 취한 값이다. 이젠 한 회로를 잡아 KVL을 이용해보도록 하자.
참고자료
·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1683&cid=40942&categoryId=32240
· (두산백과) engineering circuit analysis 10e – J. David Irwin / Robert M. Nelms (p.32)
· 대학물리학(하) – Jewett / Serway (p684~)
· 마디해석법, 폐로해석법, 중첩의 원리
· 회로이론 ENGINEERING CURCUIT ANALYSIS 10E – P106~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2095&cid=40942&categoryId=32237
· (두산백과) http://bearryu.blog.me/30162565143 (사진인용)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