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보안의 개념
2. 정보보호의 필요성
3. 정보보호의 목적
4. 정보보호의 원칙
5. 정보보호를 위한 조치
6. 해킹과 보안의 역사1950년대
7. 해킹과 보안의 역사1970년대
8. 해킹과 보안의 역사1980년대
9. 해킹과 보안의 역사 1990년대
10. 해킹과 보안의 역사 2000년대
11. 해킹과 보안의 역사 2010년대
본문내용
보안(Security)의 개념
정보/데이터를 불법적인 노출, 변조, 파괴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정보의 처리 과정, 전송 단계에서 정보를 보호하는 것
정보/데이터의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방법을 의미함
정보보호(Information Security)의 개념
허가되지 않은 접근을 통한 정보의 손상이나 변형, 파괴시키는 행위로부터 정보를
보호하고, 무결성, 기밀성, 가용성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
정보를 여러 가지 위협으로부터 보호
공급자와 사용자 측면에서 바라본 정보보호
> 공급자 측면
하드웨어 및 정보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운영하기 위한 일련의 행위
> 사용자 측면
개인 정보 유출·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일련의 행위
정보보호의 성장 배경
인터넷의 급속한 성장, 인터넷을 통한 공격 기술의 발달, 암호화되거나 보안 장비를 무력화 시키는 크래킹 기술의 발달, 정보 시스템의 취약점 증가, 보안 대책의 미비 등으로 인해 보안 침해 사고가 증가하면서 정보보호에 대한 인식과 기술이 함께 성장
정보보호의 필요성
전자상거래, 전자 정부 등 사이버 공간에서의 활동 증가에 따른 안전 신뢰성 해결
개인 프라이버시 보장
정보 범죄의 차단
정보화된 국가 중요 기반에 대한 보호 필요 → 글로벌화에 따른 국내 정보 유출 방지 → 국제 해커 및 적성국에 의한 정보 테러 차단
정보화 사회를 완성하기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소가 됨
정보보호의 목적
> 기밀성(Confidentiality)
허가 받은 자 외 누구에게도 정보 접근을 허용하지 않는 것 예) 아이디와 비밀번호 사용
> 무결성(Integrity)
정당한 권한을 갖지 않은 자에 의한 정보의 변경, 삭제, 생성 등으로부터 정보보호
> 가용성(Availability)
사고 및 재앙이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고 완전하게 복구될 수 있는 특성
> 인증(Authentication)
어떤 사람이나 객체가 주장하는 것이 실제 일치 하는지를 결정하는 처리
>부인방지(Non-repudiation)
데이터의 수신자에게 그 데이터의 기원이 누구 인지를 증명하는 증거 제공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