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본주의 사회의 휴식과 일상이 갖는 의미
2. 자유 무역의 허와 실
3. 경영 합리화의 그늘
4. FTA와 시장실패
5. 잉여가치는 어디로 가는가
6. 민영화에 얽힌 거짓말
7. 비정규직과 노동자 분할통제
본문내용
자본주의 사회의 휴식과 일상이 갖는 의미
‘목이 마르면 처음부터 그냥 샘으로 걸어가면 안 될까?’‘돈을 내고 샘물을 마시는 게 훨씬 즐겁잖니’… 사람들은 샘(행복)을 찾기 위해 일을 한다. 그러나 일을 하면 할수록 오히려 샘과의 거리는 멀어진다.
자본주의 하에서 점점 더 경제적 기반이 약화되는 80% 가난한 자들은 분노하게 되고 이러한 분노는 자본주의에서는 대중매체를 이용하여 해소한다. 1950년 경 유럽 여러 나라에서는 노동자들이 더 이상 고분고분하게 말을 듣지 않았다. 그 이유는 노조를 통해 조직화된 노동자들의 대규모 파업과는 전혀 현상이 다른 현상이었다. 그보다는 임금의 상당 부분을 저축한 노동자들이 공장에서의 통제에 잘 응하지 않게 된 것이다. 이에 195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 유럽의 선진국들은 ‘관광부’라는 것을 만들어 관광을 체계적으로 산업화했고, 노동자는 관광으로 저축을 소진하게 되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