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사기』
1. 집필 동기
2. 구성
3. 특징
Ⅲ. 『삼국사기』
1. 집필 동기
2. 구성
3. 특징
Ⅳ. 비교 고찰
Ⅴ. 『사기』와 『삼국사기』의 의의
1. 『사기』의 의의
2. 『삼국사기』의 의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는 중국의 첫 번째 정사(正史)라고 일컬어지는 역사서이다. 이후의 정사들은 적게 든 많게 든, 『사기』를 바탕으로 하여 집필되었다. 이는 『사기』가 기전체(紀傳體)라는 역사 서술의 체재와 중국 고대사를 정립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기』를 이해하는 것은 중국의 사학사 뿐만 아니라, 그에 영향을 받은 한문문화권의 사학사를 이해하는 데에도 필수적이다.
고려시대에 쓰인 『삼국사기(三國史記)』는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역사서이다. 그러므로 『삼국사기』는 그것이 담고 있는 역사적 사실들뿐만 아니라, 서술에 투영된 문화적인 가치에 있어서도 귀중한 사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삼국사기』는 개인의 독단적 편찬이 아닌 관찬서이기 때문에 당시에 전해지던 문헌들을 참고하여 저술되었다는 점에 있어서도 큰 의미를 지닌다.
『삼국사기』가 『사기』의 서술 체재를 바탕으로 하여 저술되었으며, 많은 영향을 받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삼국사기』가 『사기』를 그대로 답습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번 과제에서는 두 역사서를 이해하는 것은 물론, 서로를 비교하여 각자 고유의 가치를 찾는 것을 목표로 할 것이다. 특히, 『사기』의 부분에 있어서는 그것이 가지는 의의를 이해할 것이며, 『삼국사기』에 이르러서는 이 역사서에 대한 종래의 평가들을 비교해보고, 그 성격을 당시의 관점에서 파악해볼 것이다.
Ⅱ. 『사기』
1. 집필 동기
사마천은 태사령(太史令)인 아버지 사마담(司馬談)의 유언을 받들어 『사기』를 저술하기로 하였다. 이후 태사령이 된 사마천은 아버지의 유언을 따라 춘추(春秋)를 계승하는 역사서를 집필하기 시작하였다. 이릉(李陵)의 화는 사마천으로 하여금 그의 『사기』 저술에 대한 결심을 더욱 단단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사기』는 본래 그 이름이 『태사공서(太史公書)』이며, 위‧진 시대부터 『사기』라 불리게 된다.
참고 자료
김부식, 『삼국사기Ⅰ,Ⅱ』, 이강래 역, 한길사, 1998.
신승하, 『중국사학사』, 고려대학교출판부, 2000.
신형식, 『韓國史學史』, 삼영사, 1999.
사마천, 『사기』, 김원중 역, 민음사, 2011.
사마천, 『史記 1 - 本紀』, 정범진 외 역, 까치, 1994.
사마천, 『사마천 사기 – 중국 고대사회의 형성(수정판)』, 이성규 편역,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987.
이종동, 『중국사학사』, 조성을 역, 혜안, 2009.
전목, 『(전목 선생의) 사학명저강의』, 이윤화 역, 신서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