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U Case study-VF,VT
- 최초 등록일
- 2015.12.01
- 최종 저작일
- 2015.04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1) 심실 세동 (VF:ventricular fibrillation)
2) 심실 빈맥 (VT:Ventricular tachycardia)
3) 관상동맥조영술 (CAG:coronary angiography)
4) 전기 생리학적 검사 (EPS:electrophysiologic study)
5) 체내 이식형 제세동기 (ICD: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3. 간호과정
4.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기간 및 방법
Ⅱ. 문헌고찰
1. 심실 세동 (VF:ventricular fibrillation)
① 정의
심실벽의 여러 이소성 자극에 의해 심실이 단지 떨고 있는 전기적인 극도의 흥분상태. 심박출량이 없으므로 혈압도 0에 가깝고 맥박도 촉지할 수 없으며 호흡도 멈추고 의식도 없는 임상적으로 사망단계(clinical death)이다. 3-5분 내에 즉각적인 응급치료로 효과적인 심실수축이 회복되지 않으면 뇌와 심장 등의 비가역성 변화로 사망(biological death)하게 된다.
②원인
심실세동이 생기는 원인은 대개 심장 자체로의 혈액 공급이 부족해서이다. 급성 심근경색증, 심근 허혈증, Adams-stokes 발작의 병력이 있는 환자, quinidine과 isoproterenol 및 digitalis 중독의 결과로도 나타 날 수 있다.
③·증상
심계항진, 가슴 통증, 어지러움을 느끼며 갑작스러운 실신. 심전도상 P파는 볼 수 없으며 PR간격, QRS군과 T파를 감별할 수 없는 불규칙한 세동파(300~600회/분)가 반복된다.
④ 치료
즉각적인 제세동(defibrillation) 1회직후에는 강하고 빠르게 2분간 흉부압박(5주기)를 포함하는 CPCR 실시. 심전도 분석하여 필요시 다시 제세동기 수행 정상 동성리듬 전환시 재발
2. 심실 빈맥 (VT:Ventricular tachycardia)
① 정의
3개 이상의 심실조기박동이 100회/분 이상으로 연속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대부분 심실 조기수축에 의하여 유발되며 심실조기수축(PVC)의 QRS가 연속해서 나오는 형태이다. 심실빈맥은 치명적인 심실세동을 야기할 수 있는 극히 위험한 부정맥이며, 심실의 수축력이 감소되어 심근과 뇌의 국소 빈혈을 일으킬 수 있다.
② 원인
가장 흔한 원인은 관상동맥질환이며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는 발병 후 수일 내에 일어나는 수가 많으며 울혈성심부전증, 전해질불균형, digitailis나 quinidine의 중독 시에도 나타날 수 있다.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Ⅰ,Ⅱ 김금순, 김영숙, 최경옥, 헌경선, 윤은자, 김숙영, 김옥수, 소향숙 외 수문사
Nursing process 간호과정 최순희 외 현문사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제2판 김금자, 차영남, 장효순, 한혜실 외 8명 공저 현문사
http://www.druginf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