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대의 철학은 신플라톤주의자들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그들은 성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과 이념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고백론>,<삼위일체론>,<신국론>
포르피리오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든 철학 저작을 라틴으로 번역. ‘보편자’의 성격 등 중요 철학문제 제기.
* AD 529,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이도교적 성격을 이유로 BC 4세기에 생긴 아테네의 모든 철학학파와 분파를 패쇄.
<중 략>
아우구스티누스와 마찬가지로 진리를 탐구하기 위해 신앙, 이성 모두 사용
<독백론> 1077
신비주의적 사랑에 관한 교리 전개 - 이 교리의 영향은 여러세기 지속.
논리학자로서 후기 스콜라 철학의 방법에 기여한 신학의 방법 개척.
*스콜라철학. 플라톤주의가 쇠퇴하고 아리스토텔레스주의에 대한 관심이 늘어남.(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이 라틴어로 번역되면서 변화.)
‘실험적 보편원리’
<중 략>
<신을 향한 영혼의 여행>
마그누스 덕분에 아리스토텔레스 주의는 13세기에 크게 번성.
마그누스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를 높이 평가. ‘토마스주의’
토마스주의(신학과 철학)가 공식 가르침.
중세 후기 내내 토마스주의와 경쟁한 새로운 양식의 신학과 철학을 개발.
신은 ‘무한한 존재’ 라는 개념이 신에 대한 인간의 완벽한 개념이라 생각
‘스코투스 주의’
14세기 후반에는 ‘토마스주의’와 ‘스코투스주의’를 낡은 방식의 철학이라 불렀고 오컴등이 시작한 철학을 ‘현대방식’ 이라 여겼다.
진리에 이르는데 인간 이성의 힘은 지나치게 신뢰하지 않는 것이 그의 특징.
<중 략>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교역권과 해상의 자유로운 출입을 변호하는 글을 써달라고 부탁하여 논문 2편 완성, 국제법을 처음으로 성문화한 뜻깊은 논문이었다. ‘자연법’ 개념의 원천과 타당성을 선구적으로 연구.
문명에 앞선 ‘자연상태’에서 삶은 ‘힘들고 잔인하며 수명이 짧고.’ ‘모든 사람이 다른 모든 사람에게 적대한다.’는 법철학을 가지고 있음. 성악설을 전제로, 전제 군주제를 이상적 국가 형태로 생각.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