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IS 정의와 응용분야 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15.11.29
- 최종 저작일
- 2013.05
- 2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NGIS의 정의와 개념
2. NGIS의 추진배경과 도입효과
3. NGIS 구축의 기본 방향
4. NGIS의 의의와 특성
5. 추진현황 및 추진체계
6. 지리정보시스템의 운용원리
7. 수치지도
8. 지리정보시스템의 활용분야
9. NGIS의 문제점(건설교통부 자료 참고)
10. 결론 (발전 방향)
본문내용
1. NGIS의 정의와 개념
국가지리정보시스템(NGIS)이란 전 국토의 지상과 지하에 있는 시설물과 토지이용, 부존자원 등의 현황정보를 수치지도의 형태로 제작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것을 말한다.
이 사업은 건설교통부를 중심으로 국가GIS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진행되고 있는데, 국립지리원에서는 그 중에서도 가장 핵심이 되는 국가지형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담당하고 있다. 이는 전 국토의 지상과 지하의 지형․지물을 단순한 위치적 정보뿐만 아니라 어떤 모양의 물체가 있는지를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면 거기에 다양한 추가정보를 보완하여 환경․의료․건설․치안 등 국가사업뿐만 아니라 민간이 상업적으로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2. NGIS의 추진배경과 도입효과
국립지리원이 국가지리정보시스템(NGIS: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구축 추진전략을 마련하려는 것은 정보 주체별로 흩어져있는 각종 국가지리정보를 집대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 집대성한 정보를 국민생활과 행정 및 산업 등 전 분야에 적용,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을 던져주려는 사전작업이기도 하다. 이번에 마련될 국가지리정보시스템 구축 추진전략은 제2차 국가지리정보시스템(NGIS) 구축 기본계획에 따른 것이다. 정부는 이를 계기로 국가공간정보기반의 확충과 디지털국토의 초석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국가지리정보 수요자가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광범위하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각종 기본 지리정보(행정구역, 교통, 해양 및 수자원, 측량기준점, 지형, 시설물,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 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계획이다. 국립지리원은 1994년부터 핵심사업의 하나로 국가지리정보시스템 을 구축하기 위한 수치지도를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국립지리원에서 국가지리정보체계(NGIS)구축 계획에 따라 제작한 축척별 수치지형도는 국가예산이 투입된 정보화시대의 국가인프라이다. 그러므로 이 자료를 안정적으로 유지 관리하고 수요자들에게 신속하게 공급하는 것은 GIS보급의 확산을 유도해 결국 21세기 정보화시대에 이바지하게 될 것이다.
참고 자료
건설교통부 국립지리원 www.ngi.go.kr
대한측량 협회 www.kasm.or.kr
국토연구원 www.krihs.re.kr
대한지적공사 www.kcsc.co.kr
한국전산원 http://www.nca.or.kr
네띠앙 자료실 http://my.netian.com/~studygeo
지리 학교 http://geoedu.sarang.net
토목연구정보센터 http://www.ceric.net
GIS home page http://www.gis.co.kr
KISTI 학술지 종합목록 http://ucat.kisti.re.kr
한국지리정보 학회 http://www.kagis.or.kr
건교부 국립지리원, 수치지도 작성 규칙, 1992
건설교통부, 국립지리원, 21세기 측량정보산업 발전방향 workshop, 1997. 10
국토지리정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구축에 관한 기초연구, 정보문화센터, 1990. 12
GIS개론, 대영사, 김계현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