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 중간고사 정리
- 최초 등록일
- 2015.11.17
- 최종 저작일
- 2014.05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뒤르껨의 교육에 관한 연구 활동 영역(3가지)
2. 신교육사회학(교육과정사회학)의 연구영역
3. 파슨스의 사회체제이론
4. 뒤르껨의 보편적 사회화, 특수사회화
5. 파슨스의 교육의 사회적 기능
6. 다렌도르프의 갈등이론
7. 상응이론
8. 알뛰세의 국가기구
9. 카노이의 제국주의적 관점
10. 상징적 상호작용론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밝히고자 하는 이론)
11. 피히테의 공교육론
12. 대안학교운동
13. 가정에서의 학교교육 (재택학교교육)
14. 안드라고지 (Andragogy)
15. 원산학사
16. 매슬로우
17. 탈학교사회
18. 콜린스의 기술기능이론
19. 업적주의
20. 교육수익률
21. 기회비용
22. 졸업장병
본문내용
1. 뒤르껨의 교육에 관한 연구 활동 영역(3가지)
뒤르껨은 사회학지향적 교육사회학의 기초를 놓은 사람입니다. 사회학의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람입니다. 여기서 사회학지향적 교육사회학은 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현상을 사회학적으로 연구하여 이론을 세우는 것을 뜻합니다. 뒤르껨은 교육에 관한 활동을 세 가지로 구분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생각했습니다.
① 교육에 관한 과학적 연구
② 교육의 실제적 방법을 위한 교수학
③ 교육의 실천적 활동으로 나누자고 제안했습니다.
여기서 두 번째에서 말하는 교수학은 실제적 교육상황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지시하는 교육방법의 원리의 체계입니다. 이 점에서 보면 뒤르껨은 교육학을 둘로 나눌 수 있고, 정치학과 같은 다른 사회과학처럼 교육현상을 설명하는 학문지향의 교육학과 교육실천을 위한 구체적 지침을 제공하는 실천지향의 교육학이 따로 존재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는 실천지향의 교육학에 비해 학문지향의 교육학은 앞으로 아직 형성되지 못한 수준이기 때문에 앞으로 발전시켜야 할 학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처럼 사회과학으로서의 교육학인 학문지향적 교육학에 관심을 가졌던 뒤르껨은 교육을 사회적 사실로 인식하고 사회구조의 한 부분으로서의 교육의 사회적 기능을 밝히는 것이 교육학 연구의 핵심이라고 보았습니다. 그리하여 교육학, 좁게는 교육사회학의 연구영역은
① 교육에 관한 사회적 사실들과 그것들의 사회적 기능을 밝히는 일
② 교육과 사회 및 문화 변화 간의 관계를 밝히는 일
③ 살아있는 사회체계로서의 학급과 학교를 탐구하는 일을 포함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뒤르껨은 어떻게 보면 사회랑 구성원들 간에 유사성을 가지고 있을 때만 존속이 가능하며 교육은 이러한 집단 사회생활에서 요구되는 본질적인 유사성을 익히도록 하고,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2. 신교육사회학(교육과정사회학)의 연구영역
신교육사회학은 종래의 교육사회학이 사회구조적인 거시적 관점에만 집중한 것을 비판하며, 새로운 연구주제를 들고 나왔습니다. 그것이 미시적 접근으로 학교교육과정, 수업, 학생과 교사의 관계를 탐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