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미디어 기말고사 예상문제
- 최초 등록일
- 2015.11.12
- 최종 저작일
- 2013.02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09 : 화소 점 처리
2. 10 : 3D 입체영상
3. 11 : Digital new technology
4. 12 : 3차원 레이저 스캔기술
5. 13 : Mobile 이해
6. 14: SmartPhones 보안 위협 및 대응
본문내용
영상처리에 사용되는 여상의 종류
1. 2진 영상 : 흑/백으로 된 영상으로 문자, 지문 영상에만 사용.
처리속도가 빠르지만 정확한 경계 구분이 없는 영상에서는 영상 정보 손실
2. 그레이 영상 : 흑백 사진을 의미(농담영상), 영상처리는 기본적으로 그레이 영상을 가지고 처리
3. 컬러 영상 : 실세계 영상.
화소 점 처리의 개념
단순히 화소 점의 값만 변경하므로 Point Processing 이라고 함.
산술연산, 논리연산, 반전, 광도보정, 히스토그램 평활화, 명암 대비 stretching 등의 기법이 있음.
Gray Level 영상에서 화소 값이 작으면 영상이 어둡고, 크면 밝아짐.
<중 략>
홀로그래피의 사용
국가적 사용(자폐, 여권,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준 조폐(신용카드, 상품권), 공문서 사용(인감증명서, 정부기관 신분증), 저작권 및 상품을 위조방지(저작권, 상품보호용), 주류, 의약품, 담배등 위조방지 및 Eye catching 요으 Packaging용(포장용, 인쇄용)
· 어디에든지 모두 사용되며 디스플레이에 많이 사용되어서 Embossed Hologram의 국내시장 및 세계시장 규모는 매년 30%이상의 고 성장한다.
신기술 : google glass
과면 좋은 것일까? : 문제점으로 짧은 전원(약 5시간), 접히지 않아 휴대용으로 불편, 오래 착용시 두통, 어지럼증 유발 → 모든 제품의 융합.
<중 략>
Smart phones 보안 이슈
2011년도 주요보안 이슈로 대부분은 금융거래 등 금전적인 피해로 주로 악성코드와 관련이 있다. 과금형 악성코드 증가, 유명 앱 프로그램을 위장한 악성코드, 사생활 침해형 앱 증가와 Smartphones 뱅킹 앱 정보를 노리는 악성코드 발생 등이 있다.
2012년도에는 OS취약점이나 App 취약점을 target으로 하는 공격 및 지능화 악성코드가 대부분이다. 어플리케이션 및 OS취약점(OS중엔 윈도우, 안드로이드가 가장 취약하다.)을 이용한 악성코드 대량 유포, 시스템 커널을 공격하는 RootKit 기능의 발전, 좀비 폰 및 봇(bot)넷 본격적 활성화와, 국내 및 특정 이용자를 겨냥하는 모바일 악성코드 등장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