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 발달과정과 그 결과
1. 원인
1) 생물학적 이론
2) 가족 내 원인이론
3) 행동이론
4) 부적강화이론
5) 인지 및 사회학습이론
2. 역학
3. 발달경과
본문내용
I. 정의 및 임상특성
(1) 정의
아동이 주요 애착대상과 분리되거나 집에서 멀어지는 것에 대해 과도한 불안을 나타내고, 이는 아동의 연령과 발달수준에 비추어 부적절한 것이다. 분리가 예상되거나 실제로 일어날 상황인 경우 유발되는 스트레스를 반복적으로 경험하고 이러한 분리 상황을 회피하려 하며 중요 영역에서 기능손상이 나타난다. 또 신체적 불편을 호소하고 이는 복통이나 두통과 같은 일반적인 증상에서부터 토하거나 공황발작 같은 것으로 발전한다.
(2) 진단기준
A. 집 또는 애착대상과의 분리에 대한 불안이 발달수준에 부적절하게 지나친 정도로 나타나며, 다음 3가지(또는 그 이상) 상황에서 드러난다.
a. 집 또는 주된 애착대상과 분리되거나 분리가 예상될 때 반복적으로 심한 불안을 느낀다.
b. 주된 애착대상을 잃거나 그에게 해로운 일이 일어날 거라고 계속적으로 심하게 걱정 한다.
c. 운 나쁜 사고가 생겨 주된 애착대상과 분리될 거라는 비현실적이고 지속적인 걱정을 한다(예 : 길을 잃거나 납치되는 것).
d. 분리에 대한 불안 때문에 학교나 그 외의 장소에 지속적으로 가기 싫어하거나 거부한다.
e. 혼자 있거나 주된 애착대상 없이 지내는 데 대해 지속적이고 과도하게 두려움을 느끼거나 거부한다.
f. 주된 애착대상이 가까이 있지 않은 상황이나 집을 떠나는 상황에서는 잠자기를 지속적으로 싫어하거나 거부한다.
g. 분리의 주제와 연관되는 반복적인 악몽을 꾼다.
h. 주된 애착대상과의 분리가 예상될 때 반복적인 신체증상을 호소한다(예 : 두통, 복통, 오심, 구토).
B. 장해 기간이 적어도 4주 이상이어야 한다.
C. 18세 이전에 발병한다.
D. 사회적 ․ 학업적(직업적) 기능 영역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장해를 일으킨다.
E. 광범위성 발달장애, 정신분열증, 다른 정신증적 장애 기간 중에만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어야 하고, 청소년과 성인에서는 광장공포증이 있는 공황장애로 잘 설명되지 않아야 한다.
(3) 임상특성
분리불안 문제의 본질적인 특징은 보통 가족 구성원으로부터의 분리에 대한 과도한 걱정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